live
00:00
1월 출생아 수가 2만3947명으로 1년 전에 비해 11.6% 급증했다. 사진은 인천 미추홀구 아인병원에서 의료진이 신생아들을 보살피는 모습./연합뉴스

지난 1월 출생아 수가 2만3947명으로, 1년 전보다 11.6% 늘어났다. 1981년 통계 작성 이래 1월 기준 최대 증가 폭이다. 출생아 급증 덕에 1월 합계 출산율도 0.88명대로 올라섰다. 지난해 합계 출산율(0.75명)이 9년 만에 반등한 이후 상승 흐름이 이어졌다.

출생아가 많았던 에코 베이비붐 세대(1991~1995년생)가 혼인·출산기에 접어들었고, 코로나 팬데믹 탓에 급감했던 혼인 건수가 늘어난 속에서 출산 신혼부부에게 축하금·주거비 등을 지원하는 각종 지원책이 효과를 발휘한 것으로 보인다. 통계청은 신혼부부 증가세가 이어지고 있어서 올해 출생아 수가 작년보다 1만명 늘어난 25만명대가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반가운 소식이지만, 인구 절벽 위기를 벗어나기까지는 여전히 갈 길이 멀다. 작년 기준 합계 출산율은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평균(1.51명)의 절반에도 못 미친다. 전 세계에서 0.7명대 합계 출산율은 한국 외에 전쟁 중인 우크라이나뿐이다. 우리나라는 지난해 65세 이상이 인구의 20% 이상을 차지하는 ‘초고령 사회’에 진입했다. 저출생·고령화는 연금 고갈, 복지 부담 증가, 생산 인구 감소 등으로 성장 잠재력을 갉아먹는다. 이대로 가면 ‘국가 소멸 위기’에 빠질 것이라는 경고가 빈말이 아니다.

세계 최악 출산율의 원인은 모두가 안다. ‘아이를 낳고 키우기 힘든’ 사회적 환경 때문이다. 청년 취업이 어렵고, 내 집 마련이 힘들고, 보육과 일 병행이 어렵고, 자녀 사교육 부담이 너무 크다 보니 청년들이 결혼을 포기하거나, 결혼해도 아이를 낳지 않는 풍조가 생겨난 것이다.

모처럼 찾아온 출산율 반등이란 희망의 불씨를 잘 살려 나가야 한다. 정부는 종전 출산·육아 지원 정책의 효과를 면밀히 분석해 선택과 집중으로 정책 효과 극대화를 도모하는 한편, 연금·노동·교육 개혁에서도 더 성과를 내 청년 세대가 미래에 희망을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