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ncel
Cancel
live
지난 3일 윤석열 대통령 탄핵 찬반 집회가 열린 서울 동작구 중앙대. 빨간색 옷을 입은 한 유튜버가 대형 확성기를 단 승합차 위에 올라가 소리치고 있다. /박성원 기자

유튜브가 첫 동영상을 공개한 지 20년이 됐다. 유튜브는 유용한 지식과 재미있는 볼거리, 사회·정치적 창구 역할로 일상에서 뗄 수 없는 필수 서비스로 자리 잡았다. 세계 100여 국 25억여 명이 하루 10억 시간 이상 유튜브를 본다. 하지만 해악과 부작용 또한 심각하다. 돈벌이를 위한 가짜 뉴스와 유해 정보가 넘쳐나고 정치 양극화와 사회적 갈등·분열을 조장하는 온상이 됐다.

팩트체크 전문 매체의 설문조사에 따르면 ‘유튜브가 가짜 뉴스의 생성 주체’라는 응답은 62%로 압도적 1등이었다. 가짜 뉴스 전파 경로 또한 유튜브가 66%였다. 세월호·천안함 침몰설과 사드 전자파 유해설, 대통령 청담동 술자리 등 가짜 뉴스 상당수가 유튜브를 통해 확산됐다. 유튜버는 이를 통해 돈을 벌고 정치인은 정치적 이득을 얻지만 책임은 지지 않았다.

구독자 100만명 안팎인 정치 유튜버들은 수퍼챗 후원금과 조회 수로 매달 수천만 원대 수익을 올린다. 청담동 술자리를 보도한 유튜브 매체는 하루 2000만원 이상을 벌기도 했다. 소송을 당해도 수입이 배상금보다 많으니 겁내지 않는다. 유명인과 관련된 성희롱·외도·이혼·폭력·사망 사건이 나면 어김없이 유튜브 레커가 등장한다. 이들은 검증 안 된 의혹과 허위 정보로 영상을 올리고 공갈·협박으로 거액을 뜯어내기도 한다.

유튜브 알고리즘은 이용자 입맛에 맞는 자극적 내용만 선별해 보내준다. 균형보다는 극단적으로 편향된 영상 시청을 계속 유도한다. 증오·폭력·선동적 영상을 통해 강한 확증 편향을 부추기는 것이다. 유튜브 이용자 100만명 중 96만명 이상이 보수·진보 양 극단 채널만을 이용했고 양쪽을 모두 이용한 사람은 단 3%에 그쳤다고 한다. 심각한 현상이다.

2021년 미 의회 점거·폭동 사건과 작년 영국의 반(反)이슬람 폭동, 지난 1월 서부지법 무력 난입 사건엔 유튜버들의 극단적 콘텐츠와 가짜 뉴스가 큰 영향을 미쳤다. 정치 집회나 시위 현장마다 정치 유튜버들이 수십 명씩 몰려든다. 이들로 인한 가짜 뉴스의 폐해와 정치 양극화, 사회적 갈등의 부작용은 환산하기 어렵다.

이를 막으려면 먼저 구글의 내부 규제와 자정 노력이 필요하다. 돈 버는 수단이 돼버린 유튜브 알고리즘도 개선해야 한다. 정치권·시민단체·학계·언론 등이 참여하는 사회적 검증 기구를 만들 필요도 있다. 민주당은 2021년 유튜브와 소셜미디어상의 가짜 뉴스를 근절하기 위한 법안을 준비했다. 하지만 자기편 유튜버와 지지층이 반발하자 엉뚱하게 기존 언론에 대한 징벌적 손해배상 법안으로 둔갑시켰다. 유튜브 가짜 뉴스와 편향된 동영상 확산을 막을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