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화기에 한양을 방문한 서양인들은 “어떻게 조선엔 망자와 신을 모시는 건물이 없느냐?”고 의아해했다. 파르테논이나 판테온과 달리 조선 왕실의 사당인 종묘는 외부에 공개되지 않는 공간이었다. 조선인조차 그 안이 어떤 모습인지 아는 이가 드물었다. 오늘날 조선 건축의 걸작이란 찬사를 받는 종묘가 오래도록 세상에 드러나지 않은 이유였다.
▶종묘의 건축미를 대표하는 건 ‘단순함’이다. 특히 왕과 왕비의 신주를 모신 정전(正殿)은 화려한 팔작지붕 대신 책을 펼쳐 엎어놓은 모양의 맞배지붕이 20개의 기둥에 의지해 100m 넘게 이어지는 극도로 단순한 형태다. 사진작가 배병우는 “땅끝까지 가려는 듯 낮게 퍼져 가면서 그처럼 장엄한 느낌을 주는 건물은 종묘밖에 없다”고 했고, 유홍준 전 문화재청장은 ‘겨울의 눈 내린 종묘 정전 지붕은 거대한 수묵 진경산수화’라고 예찬했다.
▶세계적인 건축가들도 종묘를 주목했다. 스페인 빌바오의 구겐하임 미술관을 지은 프랭크 게리는 2012년 한국을 찾으면서 “다른 일정은 다 빼더라도 종묘 방문은 꼭 해야 한다”며 “한국인은 이런 건물이 있다는 것을 감사해야 한다”고 했다. “미니멀리즘은 감정이 배제되어야 하는데 이처럼 살아있는 느낌을 주는데 어떻게 미니멀리즘이냐”고도 했다. 그 후 많은 외국인이 경복궁이나 창덕궁의 화려함과는 다른 한국 전통 건축의 멋을 음미하려고 종묘를 찾는다.
▶종묘 정전이 5년의 보수 공사를 끝내고 오는 20일 시민 품으로 돌아온다. 그동안 창덕궁 옛 선원전으로 옮겨졌던 조선 역대 왕과 왕비의 신주를 다시 종묘로 모시는 환안제(還安祭)도 이날 열린다. 말 7필, 가마 28기가 1000명 가까운 행렬과 함께 창덕궁을 떠나 광화문을 거쳐 종묘까지 행진하는 장관이 펼쳐진다. 155년 만의 재연이고 조선 시대를 포함해도 네 번째인 드문 행사지만 ‘의궤’에 생생하게 기록돼 있어 완벽하게 재연된다고 한다.
▶종묘 건축의 아름다움 중에 빼놓을 수 없는 것이 정전을 둘러싼 낮은 담장이다. 동서양을 막론하고 신전은 권위적인 공간이다. 서양에선 주로 회랑을 써서 엄숙한 분위기를 연출한다. 종묘는 담이 시야를 가리지 않고 두 전각의 위용을 한껏 드러내도록 낮은 담을 쳤다. 이 낮은 담장이 멋진 조경미를 더한다. 담 너머로 전각의 지붕과 그 뒤의 숲이 하늘을 배경 삼아 펼쳐지기 때문이다. 종묘와 창경궁을 연결하는 북신문도 복원돼 지난해부터 휴일이면 일반에게 개방된다. 과거 왕족만 출입하던 곳이 시민 곁으로 성큼 다가왔다. 이런 게 복원의 참된 의미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