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년 전 특파원으로 부임해 프랑스 파리에서 집을 구할 때 고생을 적잖이 했다. 프랑스에선 월세가 어지간히 밀려도 쫓겨나지 않을 만큼 세입자에 대한 법적 보호가 강해 집주인이 세입자를 까다롭게 선별한다. 우선 집 구경 자체가 쉽지 않았다. 부동산 중개업소에서 신분과 소득이 증명돼야 집 구경 날짜를 잡아줬다. 약속된 날짜에 가보면 경쟁자 여럿과 함께 집을 구경해야 했다. 집주인에게 좋은 인상을 주려 옷차림과 태도, 말투에도 엄청 신경을 써야 했다.
▶영국 런던도 파리만큼 집 구경하기가 어렵다. 부동산 중개업소를 통해 집 구경(viewing appointment) 날짜를 잡는데, 집 구경 한 번에 75파운드(약 14만원)를 받기도 한다. 네덜란드 복덕방에선 세입자의 소득 증명뿐 아니라 자기소개서까지 요구한다. 세입자들은 자기소개서에서 월세를 꼬박꼬박 잘 내고, 집을 깨끗하게 사용할 사람이라는 걸 잘 설득해야 집 구경을 허락받을 수 있다.
▶유럽과 달리 우리나라에선 누구나 쉽게 ‘집 구경’을 한다. 그런데 최근 공인중개사협회가 ‘임장 보수제’를 추진하겠다고 해 논란이 되고 있다. 임장(臨場)이란 ‘현장에 임한다’는 뜻으로, 부동산 업계에선 ‘투자자가 발품을 팔아 현장을 방문한다’는 의미로 쓰인다. 임장 과정에 들어가는 중개업자의 노력에 대한 보상으로 ‘집 구경 요금’을 받되, 실제 계약으로 이어지면 나중에 중개 보수에서 그 돈은 빼주겠다는 것이다. 이런 발상의 배경엔 2030세대의 임장 열풍이 있다.
▶집값 초양극화와 ‘똘똘한 한 채’ 열풍이 불면서, 부동산 공부 목적으로 임장에 나서는 2030세대가 폭증했다. 임장을 다니며 아파트 입지, 주거 환경, 미래 투자 가치 등을 분석하는 모임이 만들어져 ‘임장 크루’라는 신조어도 생겼다. 이들은 복덕방에서 집을 안 보여줄까 봐 신혼부부인 척하거나, 이사 시기, 예산 등을 시나리오처럼 만들어 공유한다. “친척끼리 공동 투자할 계획”이라면서 집 구경에 7~8명이 들이닥치는 경우도 있다. 이들은 중개업자 입장에선 집을 사지도 않을 거면서 시간만 뺏는 존재들이다.
▶집값이 천정부지로 뛰는 ‘매도자 우위’ 시장이 되면, ‘집 구경’ 문턱도 높아진다. 매수자가 ‘집 구경 좀 하자’고 하면, 중개업자는 “계약금부터 보내라”고 한다. 수십억대 아파트를 사는데 집 구경조차 할 수 없는 것이다. ‘묻지 마 거래’와 ‘집 구경 요금제’. 아파트가 사람 사는 주택 아닌 투자 상품이 된 나라의 기이한 풍속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