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 단풍철을 맞아 산을 찾는 사람이 늘면서 등산 사고 위험도 높아지고 있다. 산악 사고 3건 중 1건은 가을에 발생한다. 먼저 국립공원 내 음주·흡연 적발 시 과태료가 부과된다. 음주는 안전사고로 생명을 위협하고, 흡연은 산불을 일으킬 수 있다. 산행 전 가벼운 몸 풀기를 하면 발목 접질림이나 근육 경련을 예방할 수 있다. 갑자기 기온이 낮아지거나 찬 바람이 불 때 덧입을 수 있는 여벌의 옷을 비롯, 유사시 먹을 수 있는 비상식량도 챙겨야 한다. 자신의 체력에 맞는 등산로를 선택하고, 2인 이상 동반 산행이 좋다. 조난 등 사고 발생 시 등산로 곳곳에 설치된 다목적 위치 표지판을 활용해 119 등에 신고해야 한다. 산행은 지정된 탐방로를 이용하고, 출입이 통제된 위험·금지 지역이나 ‘샛길’은 출입하지 말아야 한다. 이런 곳은 낙상 및 탈진·탈수 위험이 많고, 원활한 통신이 끊길 경우 위험한 상황에 처할 수 있다. 산행 중 생명을 지키는 것은 무엇보다 안전 수칙을 준수하는 탐방객 자신이다.
이진철·설악산국립공원소장
입력 2023.10.24. 03:00
0
0
많이 본 뉴스
이재명 민주당 예비 후보의 경제 철학, 이른바 ‘이재노믹스’(이재명+이코노믹스)의 요체는 ‘국가 주도 성장’(국주성)이다. “국가 주도...
문재인 정부가 5년 임기 대부분 기간에 주택·소득·고용에 관한 통계를 조작·왜곡했다는 감사 결과를 감사원이 내놓았다. 조작은 청와대 지...
개화기에 한양을 방문한 서양인들은 “어떻게 조선엔 망자와 신을 모시는 건물이 없느냐?”고 의아해했다. 파르테논이나 판테온과 달리 조선 ...
개화기에 한양을 방문한 서양인들은 “어떻게 조선엔 망자와 신을 모시는 건물이 없느냐?”고 의아해했다. 파르테논이나 판테온과 달리 조선 ...
100자평
도움말삭제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