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이 지역 주민들의 치안 수요에 대응하는 역할을 하는 치안센터를 절반 이상 폐지하기로 하면서 농촌 지역을 중심으로 불안감이 높아지고 있다. 치안센터는 1~2명의 경찰이 주간에 상주하면서 범죄 피해 접수, 민원 상담 등을 하는 조직으로, 경찰은 업무·인력 효율화를 위해 전국 952곳 중 576곳의 문을 닫겠다는 방침이다. 경찰이 밝힌 폐지 예정 치안센터는 대부분 농촌 지역으로, 가뜩이나 거주 인구가 적은 농촌에 치안 공백이 우려된다. 농촌의 특성상 고령 주민들이 대부분이라서 범죄 발생 시 신속히 대처하기 어렵고, 농산물 도난 사건도 잦아 각종 범죄에 불안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도심 외곽 지역 주민들도 치안센터가 사라질 경우 두려움이나 소외감이 커질 수 있다는 우려가 많다. 범죄에 취약한 농촌 지역 주민들의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해서라도 농촌 지역 치안센터 폐지를 재검토해야 한다. 폐지가 불가피한 지역은 기동 순찰 강화 등 보완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