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이 지역 주민들의 치안 수요에 대응하는 역할을 하는 치안센터를 절반 이상 폐지하기로 하면서 농촌 지역을 중심으로 불안감이 높아지고 있다. 치안센터는 1~2명의 경찰이 주간에 상주하면서 범죄 피해 접수, 민원 상담 등을 하는 조직으로, 경찰은 업무·인력 효율화를 위해 전국 952곳 중 576곳의 문을 닫겠다는 방침이다. 경찰이 밝힌 폐지 예정 치안센터는 대부분 농촌 지역으로, 가뜩이나 거주 인구가 적은 농촌에 치안 공백이 우려된다. 농촌의 특성상 고령 주민들이 대부분이라서 범죄 발생 시 신속히 대처하기 어렵고, 농산물 도난 사건도 잦아 각종 범죄에 불안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도심 외곽 지역 주민들도 치안센터가 사라질 경우 두려움이나 소외감이 커질 수 있다는 우려가 많다. 범죄에 취약한 농촌 지역 주민들의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해서라도 농촌 지역 치안센터 폐지를 재검토해야 한다. 폐지가 불가피한 지역은 기동 순찰 강화 등 보완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황해옥·강원 원주시
입력 2023.11.14. 03:00
0
0
많이 본 뉴스
문재인 정부가 5년 임기 대부분 기간에 주택·소득·고용에 관한 통계를 조작·왜곡했다는 감사 결과를 감사원이 내놓았다. 조작은 청와대 지...
윤석열 전 대통령 변호인단 일부가 ‘윤석열 어게인’ 신당 창당을 위한 기자회견 계획을 밝혔다가 4시간 만에 취소했다. 이들은 창당 배경...
개화기에 한양을 방문한 서양인들은 “어떻게 조선엔 망자와 신을 모시는 건물이 없느냐?”고 의아해했다. 파르테논이나 판테온과 달리 조선 ...
개화기에 한양을 방문한 서양인들은 “어떻게 조선엔 망자와 신을 모시는 건물이 없느냐?”고 의아해했다. 파르테논이나 판테온과 달리 조선 ...
100자평
도움말삭제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