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출신으로 올해 서울에 있는 대학에 합격한 나는 기대했던 기숙사에 입소하지 못해 대학 인근에 방 하나를 구했다. 보증금 500만원에 월세 55만원으로, 매달 관리비 15만원이 별도로 들어간다. 교통비와 식비를 포함하면 한 달에 100만원이 훌쩍 넘는다. 대학 입학 후 학비와 주거비가 부모님의 ‘등골 브레이커’가 되었다. 경기도 광주에서 온 동기는 자취방을 구하지 못해 매일 왕복 4시간을 통학하고 있다. 한국대학교육협의회 조사에 따르면, 올해 대학 기숙사 수용를은 22.8%에 머무르고 있다. 청년 월세 지원 사업 등 주거 약자인 청년을 위한 지원을 확대하는 한편, 지방 학생들을 위해 저렴한 대학 기숙사를 늘려야 한다.
정은수·중앙대 간호학과 1학년
입력 2023.12.06. 03:00
0
0
많이 본 뉴스
지난달 27일 미국 조지아주 엘라벨의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 공장 준공식. 파란색 작업복을 입은 미국 직원들이 시선을 사로잡...
“위기는 늘 기회였다. 바다를 둘러싼 미·중 싸움이 치열하게 전개될 향후 10년은 대한민국이 해양 산업의 메카로 도약할 골든타임이다.”...
우원식 국회의장이 6일 “비상계엄과 탄핵 정국을 거치면서 어느 때보다 개헌의 시급성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가 크다”며 6월 초로 예상되...
우원식 국회의장이 6일 “비상계엄과 탄핵 정국을 거치면서 어느 때보다 개헌의 시급성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가 크다”며 6월 초로 예상되...
100자평
도움말삭제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