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ve
00:00

기업에서 최근 승진을 한 중간 관리자급 ‘리더’가 고민을 털어놨다. 일에 대한 열정은 크지만 성격이 내성적이라 조직 관리나 인적 네트워킹 등에 자신이 없고, 더 이상 성장할 수 없을 것 같은 생각이 든다는 고민이었다. 실제로 고참 리더 그룹의 65% 정도가 내향적인 성격은 리더로서 단점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는 통계도 있다. 내향적 성격은 정말 성공에 불리한 걸까.

꼭 그렇지만은 않다. 리더의 성격 자체보다 ‘케미', 즉 궁합이 더 중요하다는 주장도 있다. 예를 들어 외향적인 리더는 내향적인 구성원과 잘 맞고 내향적인 리더는 외향적인 구성원과 잘 맞을 수 있다.

특정 식음료 회사의 130개 프랜차이즈 지점을 대상으로 리더와 구성원의 성향을 조사한 연구가 있다. 그 결과 소통에 다소 소극적인, 즉 내성적인 구성원이 외향적인 리더를 만난 곳은 평균치보다 수익률이 높았다. 반면 의견을 적극 제시하는 구성원이 외향적인 리더를 만났을 때는 최고의 조합일 듯한데, 오히려 수익률이 평균치보다 낮았다는 것이다. 다른 유사한 연구에서는 내향적인 리더가 자기 의견이 강한 구성원을 만났을 때 오히려 업무 효율이 증가했다. 리더의 외향적 성향이 내향적 성향에 비해 꼭 우월한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대체로 외향적인 리더는 추진력은 좋으나 구성원들이 의견을 강하게 표현하면 위협감을 느끼는 경향이 있다. 이에 반해 내향적인 리더는 추진력은 약한 듯하나 반대로 경청이나 제안에 대한 수용성 등에 장점이 있다. 외향적이냐 내향적이냐 성향 자체보다는 스스로가 내향적 성향을 단점으로 인식하는 것이 위축을 가져와 업무 역량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각 개인의 ‘다양성’을 존중하는 것이 중요한 이슈인 세상이다. 그런 관점에서 보면 내 스타일을 강하게 밀어붙이는 외향적인 타입보다 타인의 생각과 이야기를 잘 경청하고 수용해 주는 내향적 타입 리더가 지금 시대에 더 경쟁력이 있다고도 볼 수 있다.

그런데 외향적 성향과 내향적 성향은 짜장면, 짬뽕처럼 명확하게 둘로 나눌 수 있는 변수는 아니다. 싱거운 짬뽕, 매운 짬뽕처럼 내향적인 면도 있지만 외향적인 성향이 더 크다는 식의 스팩트럼형 변수다. 내 성격이 어떤지 궁금하다 보니 MBTI 등 특정 성격 유형을 찾아 주는 검사들이 유행이다. 재미와 함께 약간의 통찰도 얻는 것은 좋지만 ‘이래서 너와 나는 안 맞고 앙숙’이라는 식의 과도한 해석은 오히려 대인 관계나 자존감에 나쁜 영향을 줄 수 있다.

세상에 같은 성격은 하나도 없다. 나와 타인의 다양한 성격을 가치 있게 바라보는 마음의 여유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