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ncel
Cancel
live

‘미키 17’을 봤다. 봉준호 신작이다. ‘설국열차’ ‘옥자’에 이은 세 번째 영어 영화다. 한국말 하는 한국 배우는 나오지 않는다. 본격적인 첫 할리우드 영화라 해도 좋을 것이다. 살다 보니 한국 감독이 2천억원짜리 할리우드 SF 영화를 만드는 걸 다 본다.

모국어 아닌 언어로 좋은 영화 만드는 경우는 잘 없다. 할리우드에 진출한 외국인 감독 실패작도 서부 전선 병사처럼 널려 있다. 할리우드 입성하는 순간 고유의 특색을 잃어버리는 탓이다. ‘미키 17’은 달랐다. 매우 봉준호다운 영화였다. 영화 중반쯤 깨달았다. 로버트 패틴슨, 마크 러팔로 같은 배우들이 한국 연기를 하고 있었다. 뭐가 그들 연기를 한국적으로 만드냐고? 신경질이다.

한국인은 신경질이 많다. 가족에게도 친구에게도 신경질을 부린다. 한국인만의 특징은 아니지 않으냐고? 서양 남자와 결혼한 한국 여자 유튜브에서도 그런 이야기를 봤다. 아내의 신경질에 화를 내던 남자가 첫 한국 여행 이후 화를 멈췄다는 이야기다. 일상에서 언성을 높이는 한국인들을 보고 ‘이건 그냥 한국인 특징이구나’ 깨달았다는 것이다.

영화는 과장된 세계다. 한국인 특징은 증폭된다. 전문가조차 위기 상황에 신경질을 부린다. 적어도 내가 아는 전문가들은 그러지 않는다. 자기 영역에 문제가 생길수록 차분해진다. 그래야 전문가다. 한국 영화에서는 과학자도 신경질을 부린다. 모두가 이러니 영화에 집중하기가 힘들다. 과학자로 가득한 SF 영화 ‘더 문’을 보다 극장에서 볼륨을 줄이고 싶었던 독자라면 무슨 소린지 이해할 것이다.

아마도 그것이 한국 감독이 한국인을 바라보는 시선일 것이다. 감정 과잉 상태로 짜증을 부리는 사람들 말이다. 이제 그런 캐릭터는 조금 덜어내도 좋겠다. 지금 한국 배우 중 미묘한 신경질 연기를 미세하게 잘하는 젊은 배우가 있다. ‘지옥’과 ‘밀수’의 박정민이다. 모든 신경질 캐릭터는 박정민에게만 맡기자. 한국 영화의 골고다 언덕에서 신경질이라는 십자가를 홀로 짊어지게 하라. 한국 영화 부활을 위한 신경질적 제안이다.


△매일 조선일보에 실린 칼럼 5개가 담긴 뉴스레터를 받아보세요. 세상에 대한 통찰을 얻을 수 있습니다. 구독하기 ☞ https://page.stibee.com/subscriptions/911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