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적, 승진은 물론이고 가위바위보에 져도 화가 치밀고, 남들이 못 사는 한정판은 꼭 사야 만족한다는 부류의 사람들이 있다. 성공하고 쟁취한 순간은 짜릿하지만 곧 허탈해지고, 졌을 때는 상황을 반추하며 뒤척이다 밤을 새기도 한다. 그들의 반추는 언뜻 바둑의 복기를 연상시킨다. 문득 조훈현 9단의 “이기는 기쁨에 비해 지는 고통이 너무 커서 결국 이기기 위해 복기한다”는 인터뷰가 떠올랐다.
반추와 복기의 차이는 무엇인가. 반추는 이미 끝난 나쁜 상황을 곱씹고 곱씹는 것으로 심리학자들이 최악의 감정적 습관이라 부르는 것이다. 반추가 반복되면 나빴던 과거가 몸과 육체에 들러붙어 끝없이 악영향을 끼친다. 바둑의 복기 역시 경기가 끝난 후 이어진다. 바둑기사들은 경기 후, 자신이 둔 한 수 한 수를 분석해 무엇이 좋고 나쁨을 분석하고 더 좋은 다음을 준비하는데, 그것이 복기다.
반추와 달리 복기는 ‘이기든 지든’ 무조건 한다. 복기의 기능은 승리와 패배 모두에서 배운다는 대원칙에 있다. 조훈현은 “승리한 대국의 복기는 이기는 습관을, 패배한 복기는 이기는 준비”를 만들어준다고 말했다. 아플수록 더 철저히 복기하는 건 같은 실수를 되풀이하지 않기 위해서다.
2016년, 이세돌 9단은 구글의 인공지능 알파고를 이기기 위해 평소라면 절대 두지 않을 ‘악수’를 둔다. 패배를 예견하면서도 ‘그 수’를 통해 한 걸음 더 나아가기 위한 전략적 후퇴였다. 바둑 기사에게 이미 지난 승부보다 중요한 건 그 승부를 통해 더 나은 수를 두는 것이다. 그것이 바둑 기사의 진화다. 결국 이세돌은 알파고를 이겨 본 인간 유일의 바둑 기사가 된다.
당장 이기는 것에 초점을 맞추면 지는 게 두려워 회피하거나 반칙, 꼼수를 쓰게 된다. 지혜로운 교육자가 아이의 성적이 아니라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 자체를 평가하는 이유다. 열심히 하지 않아서 지는 게 아니다. 최선을 다해도 질 수 있다. 중요한 건 승리든 실패든 그것을 받아들이는 태도다. 행복과 쾌락이 다르듯 성장과 성공 역시 다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