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가 21일 서울 여의도 금융투자협회에서 열린 자본시장 활성화를 위한 정책간담회에서 질의응답을 하고 있다. /뉴시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는 21일 서울 여의도 금융투자협회에서 열린 자본시장 활성화 간담회에 참석했다.

이 후보는 이 자리에서 “대한민국 자산 시장이 부동산 중심인 데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무엇보다 자본시장이 비정상적이기 때문”이라며 “‘국장 탈출은 지능순’이라는 황당한 유머까지 생길 정도”라고 했다.

이 후보는 “저도 꽤 큰 개미 중 하나였고, 정치를 그만두면 주식 시장으로 돌아갈 가능성이 99%였다”며 “대선에 떨어져서 상당 기간 정치를 안 할 것 같아 나름 연구해 조선주를 샀다가 국회의원 되는 바람에 (팔았다). 지금은 3배가 올랐다”고 했다.

또한 이 후보는 “이번에 상법 개정에 실패했는데 최대한 이른 시일 내에 해야 한다”며 “집안의 규칙도 안 지키면서 어떻게 글로벌 경쟁에서 살아남느냐”고 했다. 주주에 대한 이사의 충실 의무를 도입하는 상법 개정안은 민주당이 추진했으나, 정부의 재의요구권(거부권) 행사로 무산됐다.

이 후보는 상법 개정안에 반대하는 목소리를 두고는 “이기적인 소수들의 저항이라고 생각되는데 당연히 바꿔야 하는 것 아닌가”라며 “상법이 개정되면 지배 대주주의 횡포가 줄어들고 비정상적 경영 판단도 중단될 것”이라고 했다.

이 후보는 “(주식) 종목 수는 세계 5위인데 시가총액은 15위다. 이는 실제 가치가 거의 없는 종목이 많다는 함의가 있지 않나”라고 했다. 한 참석자가 “상장 후 영업이익률을 달성 못 한다든가 지속 가능성 있는 영업 비즈니스 모델을 달성하지 못하면 상장 폐지를 해야 한다”고 하자 이 후보는 “솎아내야 한다”며 호응했다.

이 후보는 이날 행사 참석 전 페이스북에서는 “회복과 성장으로 코리아 디스카운트를 해소해 주가지수 5000 시대를 열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