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이준석 대표는 17일 안철수 의원이 국민의당 몫의 최고위원 두 자리에 대한 재고 요청을 거부한 것과 관련해 “(안 의원이) 희한한 답변을 했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이날 라디오에서 “안 의원은 ‘국민의당이라는 당이 없어졌기 때문에 이 결정을 되돌릴 수 없다’고 하는데 사실 이해가 안 가는 답변”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이 대표는 또 조만간 자신의 성 상납 의혹을 다룰 당내 윤리위원회를 두고선 “도대체 어떤 부분에서 윤리를 다루겠다는 건지 이해가 안 간다”며 대립각을 세웠다. 여권에선 “이 대표가 최고위·윤리위 등 문제를 조기에 수습하느냐에 따라, 당 일각에서 제기된 조기 사퇴론을 잠재우고 공천 개혁 등을 추진할 동력을 얻게 될 것으로 보인다”는 말이 나온다.
앞서 안 의원은 지난 대선 이후 합당 과정에서 국민의당 몫 최고위원 2명을 임명하기로 한 합의에 따라 국민의힘 정점식 의원과 김윤 전 국민의당 서울시당위원장을 최고위원으로 추천했다. 하지만 이 대표가 재고를 요청하면서 양측이 충돌했고, 이에 권성동 원내대표가 중재를 시도했으나 성사되지 않았다.
이날 이 대표가 안 의원 입장을 재차 비판하면서 양측은 여전히 평행선을 달렸다. 이 대표는 “(안 의원이 추천한) 2명의 최고위원을 받게 되면 당헌·당규를 개정하는 절차가 필요한데 그런 걸 감내하며 끝까지 국민의힘 출신 의원(정점식)을 넣어야 하는 이유가 뭔가”라고 했다. 이에 안 의원은 방송에 출연해 “그런 얘기는 벌써 (합당 논의 중이던) 두 달 전에 나왔어야 하는 것 아니겠나. 그 정도도 미리 점검을 안 했다면 사실 부끄러운 노릇”이라며 “제가 문제를 만든 건 아니다. 문제를 만든 사람이 풀어야 한다”고 했다.
또 이 대표는 자신이 추진하는 혁신위원회를 둘러싼 당내 일부 반대를 겨냥해선 “혁신위 인적 구성이 지금 1차적으로 완료된 상황 속에서 도대체 어디가 ‘이준석의 사조직’인지를 한번 설명해 보셔야 할 것”이라고 반박했다. 이날 최재형 혁신위원장은 혁신위 부위원장으로 국민의힘 3선 조해진 의원을 내정했다. 또 최 위원장은 안철수 의원 추천을 받아 구혁모 전 국민의당 최고위원을 혁신위원으로 선임하기로 했다.
정치권에선 이양희 윤리위원장이 16일 귀국하면서 윤리위 심의 일정도 속도를 낼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이 대표는 본지 통화에서 윤리위 향후 결정에 대해 “경고도 받아들이기 힘들다. 윤리위가 임의로 할 수 있는 ‘당원권 정지’도 정치적 판단”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