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윤리위원회는 8일 성 상납 증거 인멸 교사 의혹을 받는 이준석 대표에 대해 ‘당원권 정지 6개월’이라는 중징계 결정을 했다. 이 대표는 윤리위 징계로 반년 동안 직무 수행이 어렵게 되면서 대표직 유지가 불투명하게 됐다. 이 대표는 그러나 “납득할 수 없다”며 사퇴를 거부했고, 권성동 원내대표는 “내가 직무대행”이라고 밝히면서 당의 혼돈은 더 커졌다. 대선 승리 4개월, 집권 2개월, 지방선거 승리 1개월 만에 여당이 한치 앞도 내다볼 수 없는 내분 상태에 들어간 것이다.

윤리위는 전날 오후 7시부터 이날 새벽 2시 45분까지 국회 본관에서 약 8시간에 걸친 심야 마라톤 회의를 열어, 이 대표의 소명을 들은 뒤 이 같은 징계 결정을 내렸다. 이양희 윤리위원장은 징계 결정 사유에 대해 “이준석 당원은 김철근 정무실장이 지난 1월 대전에서 장모씨를 만나 성 상납과 관련한 사실확인서를 작성받고 7억원 상당 투자유치약속 증서를 작성해준 사실에 대해 알지 못했다고 소명했으나, 윤리위가 종합적으로 고려했을 때 위 소명을 믿기 어렵다고 판단했다”고 했다. 다만 이 위원장은 “성 상납 의혹에 대해선 판단하지 않았다”고 했다. 이 대표의 핵심 측근으로 증거 인멸 의혹에 연루된 김철근 정무실장에 대해선 ‘당원권 정지 2년’이라는 고강도 징계 결정을 했다.

그러나 이 대표는 윤리위 규정상 징계 실행을 결정할 권한이 당 대표에게 있다는 점을 거론하며 “당 대표에서 물러날 생각이 없다”고 했다. 그러면서 “처분을 납득할 수 없고, 가처분이라든지 재심이라든지 상황을 판단해 조치를 하겠다”고 했다. 그러자 권성동 원내대표는 “윤리위는 의결 즉시 효력이 발생해 당 대표 권한이 정지됐다”며 “(대표) 권한은 원내대표가 직무대행 하는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고 했다. 여당의 대표가 누군지도 제대로 알 수 없는 상황이 된 것이다.

잠재적 당권 주자들 사이에서는 이 대표의 잔여 임기를 채우기 위한 비상대책위원회 체제 전환 또는 조기 전당대회 개최 등의 시나리오도 벌써부터 거론되고 있다. 그러나 향후 여론의 향배와 경찰 수사 결과에 따라 정국이 또다시 요동칠 수 있어 당분간 극심한 혼란 속에서 쉽게 결론을 내리기 어려울 것이란 관측이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