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일 밤 중앙선거관리위원회 과천청사를 점거한 계엄군이 선거인명부 시스템 서버를 촬영하고 있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했던 3일 밤 중앙선거관리위원회 과천청사를 점거한 계엄군이 전산실에 진입해 선거인 명부 시스템 서버를 촬영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야당 의원들은 6일 국회에서 선관위의 감시 카메라 영상을 공개하고, “계엄군의 선관위 장악 목적은 전산 서버였던 것으로 보인다”며 “이들이 선거 시 사전투표 명부를 관리하는 시스템인 통합 선거인 명부 시스템 서버와 보안 장비가 구축된 서버 등을 촬영했다”고 했다. 그러면서 “비상계엄은 부정선거 음모론자들의 주장에 따라 치밀하게 기획되고 실행된 것”이라고 주장했다.

중앙선관위는 이날 “현재까지 계엄군의 내부 자료 반출은 없었다”며 “추후 피해 여부를 지속적으로 면밀하게 확인·점검할 예정”이라고 했다. 노태악 중앙선거관리위원장은 계엄군의 청사 점거는 “명백한 위헌·위법 행위”라며 “강력한 유감을 표한다”고 했다.

앞서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은 지난 5일 언론에 보낸 입장문에서 계엄군을 중앙선관위에 보낸 이유에 대해 “많은 국민이 부정선거 의혹을 제기함에 따라, 향후 수사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시스템과 시설 확보가 필요하다고 판단했다”고 했다.

그동안 일부 보수 단체와 유튜버들은 4·10 총선의 부정선거를 주장하면서 선관위 수사를 촉구해왔다. 윤 대통령도 이에 경도됐을 가능성이 있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인터넷 매체 뉴스타파가 윤석열 대선 캠프에서 2021년 12월 29일 작성된 것이라며 공개한 ‘부정선거 관련 관리대책’ 문건에 따르면, 윤 캠프는 “대선에서 선거 부정으로 여야 갈등이 재현될 것”이라고 했다. 또 양정철 전 더불어민주당 민주연구원장 시절 민주연구원이 중국공산당 중앙당교(黨校)와 교류 협약을 체결했었다며, 선거에 대한 ‘중국 개입설’을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