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7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본회의에서 김민석 최고위원과 대화하고 있다/뉴스1

최근 각종 여론조사에서 국민의힘 지지도가 더불어민주당을 역전한 결과가 잇따르자 민주당 일각에서 “위기 신호로 읽어야 한다”는 말이 나오고 있다. 민주당 지도부에선 최근 국민의힘 정당 지지도가 상승하는 여론조사 결과를 ‘보수층 과표집에 의한 착시’라고 평가절하하는 분위기다. 하지만 민주당 일부 인사들 사이에서 “여론 추세를 면밀히 검토해 대응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는 우려가 나오기 시작했다.

민주당 이언주 최고위원은 17일 BBS라디오 인터뷰에서 최근 여론조사 흐름과 관련해 “여당의 극렬 지지층이 대통령이 체포되는 상황에 격앙된 상태라 매우 적극적으로 여론조사 전화를 받고 있다”며 “중도 내지는 민주당 지지층은 여론조사 자체에 시큰둥한 상태 아닌가 싶다”고 했다. 이 최고위원은 “명태균 사태 이후로 대다수 국민이 여론조사에 대한 불신이 굉장히 심각해져 있다”며 “여론조사를 잘 안 믿는 경향이 있다”고 했다. 최근 여론조사는 보수 지지층이 적극 응답해 신뢰도가 떨어진다는 주장이다.

그러나 민주당 내부적으로는 “최근 여론조사 추세를 과소평가해선 안 된다”는 분위기도 퍼지고 있다. 이와 관련, 청와대 정무수석을 지낸 최재성 전 의원은 이날 CBS 라디오에서 “민주당이 잘못 대응하고, 때로는 조금 능력이 없어 보이고, 무책임하고, 거칠고, 조롱하는 과정이 (보수의) 결집을 조금 더 가속화하고 중도층을 이동하게 만든 것”이라고 했다. 민주당의 한덕수 국무총리 탄핵과 일부 의원들의 “윤석열 사형감” 같은 강경 발언이 중도층 일부의 민주당 이반을 불렀다는 것이다. 박용진 전 의원도 SBS 라디오에서 “말 안 들으면 탄핵하는 등의 조급해 보이는 방식으로, 힘자랑하는 것처럼 보일 것이 아니라 우리는 책임 정당이라는 점을 명확하게 보여줘야 한다”라고 했다.

정치권 일각에선 이런 여론조사 흐름이 계속될 경우, 야권의 가장 유력한 대선 주자로 거론되는 이재명 대표 ‘일극 체제’에 균열을 부를 가능성도 거론된다. 야권 관계자는 “민주당 지지율 하락세는 이재명 대표의 차기 대선 경쟁력과 떼어놓고 보긴 어렵다”며 “국민의힘 지지도가 계속 민주당에 우세할 경우 향후 비명계 차기 주자들이 적극적으로 움직일 가능성이 있다”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