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오른쪽)과 한덕수 국무총리가 6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윤석열 정부의 비상계엄 선포를 통한 내란 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특별위원회 제3차 청문회에 출석해 있다./뉴스1

전·현 대통령 권한대행인 한덕수 국무총리와 최상목 경제부총리가 6일 계엄 사태 관련 국회 국정조사 특별위원회 청문회에 나왔다. 국회가 계엄 사태 청문회에 두 사람을 증인으로 채택하면서, 전·현 대통령 권한대행이 국회 청문회장에서 한 자리에 선 초유의 일이 일어난 것이다.

총리와 부총리인 두 사람의 의전도 역전됐다. 최 권한대행은 이날 수석 증인석에 앉았고, 한 총리가 최 권한대행 옆에 앉았다. 증인 선서도 최 권한대행이 대표로 했다. 한 총리는 대통령 권한대행이었던 작년 12월 27일 야당에 의해 탄핵 소추됐다. 이후 최상목 부총리가 대통령 권한대행을 이어받았다.

앞서 한 총리는 1·2차 청문회에 출석했다. 반면 최 권한대행은 국정 운영 등 일정이 있어 1·2차 청문회엔 출석하지 않았고, 이날 3차 청문회에 출석했다. 한 총리 측에선 이번 3차 청문회 출석에 난색을 표했지만 더불어민주당이 주도하는 특위에서 이번에도 증인으로 채택한 것으로 알려졌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6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윤석열 정부의 비상계엄 선포를 통한 내란 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특별위원회 제3차 청문회에서 의원들의 질의에 답하고 있다. /남강호 기자

한편, 윤석열 대통령 등 9명은 이날 3차 청문회에 불출석했다. 이에 대해 국정조사 특위는 이날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 문상호 전 정보사령관, 노상원씨에 대한 동행명령장을 발부했다. 윤 대통령은 헌법재판소에 출석하고, 심우정 검찰총장은 이진동 대검 차장이 대신 출석했기 때문에 동행명령장을 발부하지 않았다고 안규백 위원장은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