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규칙을 둘러싼 논란에 대해 친명계 정성호 의원은 15일 “민주당의 권리당원들이 선택한 결과”라며 “일반 국민의 여론도 많이 반영된다고 보고 큰 문제는 없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정 의원은 이날 KBS 1라디오 ‘전격시사’에 출연해 경선 룰을 둘러싼 비판의 목소리에 대해 이같이 밝혔다. 민주당은 전날 중앙위에서 ‘권리당원 투표 50%, 일반 국민 여론조사 50%’ 방식의 경선 룰을 확정했다. 이에 대해 완전 국민경선을 주장해온 김두관 전 의원은 반발하며 경선 참여를 거부했고, 김동연 경기지사는 “민주당의 원칙인 국민경선이 무너진 점을 안타깝게 생각한다”고 했다.
이에 대해 정 의원은 “(이번에 결정된 경선 룰에 대해) 권리당원들이 압도적으로 찬성했고 중앙위원들도 비슷한 비율로 찬성을 했다”고 했다. 그는 “19대, 20대 대선의 사례에 비춰서 ‘퇴보한 것 아니냐’고 하는데, 당시에는 권리당원 수가 10~20만명 내외였지만 지금 권리당원만 120만명에 육박하고 있다”고 했다. 권리당원 수가 대폭 늘어난 만큼 그들의 의사를 반영하는 경선 규칙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정 의원은 그러면서도 이재명 전 대표에게 유리한 경선 룰이란 지적에 대해선 “당대표를 3년 했으니 유리하긴 할 것”이라며 “이 전 대표가 작년 총선에서 압도적 승리를 만들어냈다는 면에서 당원들의 신뢰가 있다고 봐야 할 것”이라고 했다.
정 의원은 김두관 전 의원이 경선에 불참한 것에 대해 “경선에 참여해 완주하면서 그의 비전을 민주당의 비전으로 만드는 데 역할을 해줬으면 하는 게 개인적인 바람이었다”며 “그가 추구하던 지방 분권 등의 가치가 당 경선에 투영됐으면 좋겠다”고 했다.
정 의원은 ‘반이재명’ 정서를 기초로 한 제3지대 출범 가능성에 대해선 “전혀 가능성이 없다고 생각한다”며 “과거 대선 때마다 제3지대 후보론, 빅텐트론이 나왔는데 실현된 적이 한 번도 없다”고 했다. 그는 “이재명 전 대표를 심판하는 선거가 아니라 윤석열 전 대통령과 국민의힘에 대한 심판”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