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전 대통령은 25일 검찰이 뇌물 혐의로 자신을 기소한 데 대해 “검찰권 남용의 단적인 사례”라고 말했다. 문 전 대통령은 이날 ‘판문점 선언 7주년 기념식’에 참석하기 위해 국회를 찾았다가, 기념식 전 우원식 국회의장과 면담하며 이같이 말했다.
문 전 대통령은 “기소 자체도 부당하지만, 뭔가 정해진 방향대로 무조건 밀고 가는 그런 느낌이 들었다”고 했다. 검찰이 처음부터 기소를 정해 놓고 수사를 진행했다는 것이다.
문 전 대통령은 “제가 기억하는 범위 내의 답변을 이미 작성해 놓고, 다만 좀 더 사실관계를 깊이 있게 확인하기 위해 대통령기록관을 방문해 기록 열람 중이었다”며 “그 과정이 검찰과 협의가 되면서 조율을 하고 있었는데 이렇게 전격적으로 기소했다”고 했다.
문 전 대통령은 “어쨌든 검찰이 그만큼 정치화되어 있고, 검찰권이 남용된다는 그런 단적인 사례 같다”며 “앞으로 그 점을, 개인적인 무고함을 밝히는 차원을 넘어 검찰권 남용과 정치화 부분을 제대로 드러내고 국민들께 알리는 데 주력해달라”고 우 의장에게 부탁했다.
검찰은 지난 24일 문 전 대통령을 특정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위반(뇌물) 혐의로 불구속 기소했다. 검찰은 문 전 대통령에게 이상직 전 민주당 의원에게서 2억1700만원 뇌물을 받은 혐의를 적용했다. 2억1700만원은, 문 전 대통령의 사위였던 서모씨가 이 전 의원이 실소유한 태국 저가 항공사 타이이스타젯 임원으로 취업해 2018년 8월부터 2020년 4월까지 받은 월급과 집세 등을 합한 금액이다. 검찰은 문 전 대통령이 뇌물의 대가로 2018년 3월 이 전 의원에게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이사장 자리를 주고, 2020년 4월 총선 때 민주당 공천을 도운 것으로 봤다.
문 전 대통령은 이날 판문점 선언 7주년 기념식에선 기념사를 통해 윤석열 정부를 강하게 비판했다. 문 전 대통령은 “지난 3년은 그야말로 반동과 퇴행의 시간이었다”며 “12.3 비상계엄은 대한민국 퇴행의 결정판이었다”고 했다.
문 전 대통령은 “한반도 평화와 남북 관계는 지난 3년간 회복이 어려울 정도로 망가졌다”며 “다시 한반도 평화의 길로 나설 때”라고 했다. 그는 “일각에서 제기되는 핵무장론은 위험한 주장”이라며 “북한의 핵 개발에 면죄부를 주고, 한반도 비핵화를 포기하는 것이며, 동북아를 세계의 화약고로 만들 수 있는 무책임한 주장”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