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는 24일 “문재인 대통령의 유엔 연설은 지난 15일 녹화돼 18일 유엔으로 보내졌다”고 밝혔다.
문재인 대통령이 북한의 우리 공무원에 대한 총격과 시신 유기를 보고 받고도 종전선언을 강조한 유엔 연설을 한 것을 두고 야당이 “북한의 도발을 알고도 대통령이 유엔 연설에서 종전선언을 했느냐”고 비판한 것에 대한 대응이었다.
문 대통령의 유엔 연설은 코로나 상황 때문에 온라인 연설로 대체됐다. 실시간 연설이 아니라 사전 녹화된 영상을 통한 ‘녹화 연설’이었다.
문 대통령은 연설에서 “종전선언을 통해 화해와 번영의 시대로 전진할 수 있도록 유엔과 국제사회가 힘을 모아주길 바란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국제사회의 지지와 협력이 계속된다면 한반도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가 반드시 이뤄질 수 있다고 변함없이 믿고 있다”고도 했다.
문 대통령의 유엔 총회 연설은 한국 시각으로 23일 새벽 1시26분에 시작해 1시42분에 끝났다. 국방부는 22일 밤 우리 실종 공무원이 북한에 총격을 받고 시신까지 불태워졌다는 내용의 보고를 청와대에 한 것으로 나타났다. 문 대통령의 연설 시점에는 이 상황이 모두 종료된 상황이었다.
청와대는 문 대통령 연설은 지난 15일 녹화돼 18일 유엔 현지에 보내졌기 때문에 연설을 전면 취소하지 않는 이상, 연설 내용을 수정할 수는 없었다는 입장이다. 이 때문에 문 대통령이 북한 도발을 알고도 종전선언을 주장했다는 것은 부당하다는 것이다.
그러나 문 대통령은 23일 오전에 열린 군 진급 신고식에서도 “평화의 시기는 일직선이 아니다”라며 북한의 도발을 언급하거나 규탄하지 않았다.
청와대는 24일 서훈 안보실장 주재로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를 열고 북한의 도발에 대해 논의했다. 북한의 반인륜적 총격 살해 및 시신 유기에 대해 군이 이례적으로 “만행”이라며 강도 높게 규탄했지만, 청와대는 이날 NSC 회의도 문 대통령이 주재하는 NSC 전체회의로 격상하지는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