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군 급식 부실 사태와 관련, 정부가 9개 부처가 참여한 연합 대응 기구를 만들기로 했다. ‘급식 불만’이 폭주하자 국방부 자체 역량만으로는 해결이 어려워진 단계까지 왔다는 것이다. 국방부는 군 부실 급식 사태와 관련, 박재민 차관을 책임자로 하는 ‘장병 생활여건 개선 범정부 태스크포스(TF)’를 출범한다고 1일 밝혔다. TF에는 국방부 및 기획재정부, 농림축산식품부, 해양수산부, 중소벤처기업부, 보건복지부, 국가보훈처, 방위사업청, 조달청 등 9개 부처 과장급 공무원이 참여한다. 부실 급식뿐 아니라 피복, 시설, 복지·의료, 인사·병영 등 군내 부조리를 전 분야에 걸쳐 파악하겠다는 것이다.

특히 TF에는 최근 혹사 논란이 일었던 현역·예비역 조리병도 참여할 예정이다. 국방부는 이들을 대상으로 조리병 근무 실태 등을 면밀히 점검한다는 방침이다. 군부대 영양사와 급양관리관(부사관), 장병 급식·피복 어머니 모니터링단 단원 등도 참여한다. 식품영양학과·식품공학부·의류학과 교수 등도 TF에 포함됐다. TF에선 군 급식 외주화 문제 등이 본격 논의될 예정이다.

농림부와 해수부, 조달청을 포함한 것은 현행 군 식자재 및 부식 조달 체계가 합리적인지 점검하고 평가하기 위한 것이라고 정부 관계자는 설명했다. 군은 1970년 농협과 ‘군 급식 품목 계획생산·조달에 관한 협정’을 맺었다. 이 때문에 일선 부대는 의무적으로 지역 농수축산물을 수의계약을 통해 조달하고 있다. 작년 기준 급식 예산의 약 54%가 이렇게 집행됐다. 군 급양 담당자들은 “이런 수의계약 때문에 병사 입맛에 맞는 식단을 만들기가 어렵다”고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