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덕민 주일 한국대사가 한일 정상 간 ‘셔틀외교’ 복원과 관련해 ‘연내 윤석열 대통령의 방일 가능성’을 내비쳤다. 대통령실에선 셔틀외교 복원 필요성은 인정하면서도 ‘연내 방일은 어렵다’는 분위기다.
윤 대사는 지난 26일 일본 교도통신이 보도한 인터뷰에서 “국제 정세가 급격히 변하고 있는 점을 고려하면 윤 대통령이 연내에 일본을 방문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며 “셔틀외교가 생각한 것보다 이른 시일 내에 재개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윤 대사는 “지난 10년간 양국이 역사 문제만으로 대립해 왔다”며 “역사를 직시하면서도 미래지향적으로 협력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그는 윤 대통령 방일이 성사되면 “한일 관계 정상화의 상징적 사건이 될 것”이라고도 했다.
한일 정상이 상대국을 오가며 소통하는 셔틀외교는 2011년 12월 당시 이명박 대통령과 노다 요시히코 일본 총리의 교토 회담을 마지막으로 사실상 중단됐다. 이와 관련, 대통령실 관계자는 “현 시점에서 구체적으로 말할 게 없다”고 했다. 다른 대통령실 관계자는 “셔틀외교 복원은 양국 관계 복원을 위해 필요하다”면서도 “다만 여건상 대통령의 연내 방일은 현재로선 쉽지 않은 분위기”라고 했다. 강제징용 피해자 배상 문제 등 양국 간 난제를 풀기 위한 양국 내 여건이 좀 더 숙성돼야 한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윤 대사는 강제징용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국민적 공감’이 중요하다고 했다. 윤 대사는 “(2015년 한일) 위안부 합의 이후 일본의 정책 결정자들이 ‘이것으로 끝’이라는 느낌으로 말한 한두 마디가 한국 여론을 악화시켰다”며 “피해자 측의 상처를 치유하는 화해의 과정이 필요하다는 점을 일본에서도 알아주길 바란다”고 했다.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지소미아)과 관련해서는 “국민의 안전을 위해 정보 교환이 필요한 시기”라며 “파기할 상황이 아니다”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