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공군이 19일 미 B-1B 폭격기 등 전략 자산을 한반도에 전개하며 연합 공중 훈련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북한이 전날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화성-15형을 발사하자 예정에 없던 연합 훈련으로 맞대응한 것이다. 괌 기지에 배치한 미 전략폭격기까지 신속 동원했다.
합참은 이날 “한국 측에선 최대 8t(톤)의 무장 장착이 가능한 F-35A 스텔스 전투기와 F-15K, 미 측에선 F-16이 한국방공식별구역(KADIZ)으로 진입한 미 B-1B 전략폭격기를 호위하면서 연합 편대 비행하는 방식으로 훈련이 이뤄졌다”고 밝혔다. 총 10여 대가 참가해, 서해에서 동해로 이동하면서 남부 지방을 통과한 것으로 알려졌다. B-1B는 최대 57t의 무장 장착이 가능한 초음속 폭격기로 유사시 2시간 만에 한반도 전개가 가능하다. B-1B 한반도 전개는 지난 1일 이후 보름여 만이다. 북 핵·미사일 위협이 커지면서 미 전략 무기의 한반도 전개도 잦아지고 있다.
합참은 이날 “이번 훈련은 미 확장 억제(핵우산) 전력이 적시적이고 즉각적으로 한반도에 전개되고 있다는 걸 보여준다”면서 “동맹의 압도적인 전력을 통해 한미 연합 방위 능력과 태세를 보여주고, 이번 훈련을 계기로 연합 작전 수행 능력도 향상시켰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미국의 철통 같은 한반도 방위 및 확장 억제 공약 이행 의지를 확인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대통령실은 지난 18일 북한 미사일 발사 직후 김성한 국가안보실장 주재로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회를 열어 북한 ICBM의 구체적 제원과 도발 의미 등을 분석하고 대응책을 논의했다. 대통령실은 회의 후 “참석자들은 북한의 ICBM 발사는 유엔 안보리 결의에 대한 중대한 위반이자 한반도와 역내 긴장을 고조하는 심각한 도발임을 강조하고 이를 강력히 규탄했다”고 말했다.
한미 군 당국은 오는 22일에는 미 펜타곤(국방부 청사)과 조지아주(州) 킹스베이 전략 핵잠수함 기지에서 ‘핵우산’ 운용 훈련(DSC TTX)을 실시한다. 이 기간 미 측이 핵잠수함 기지에서 ‘트라이던트2′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을 시험 발사하며 대북 경고 메시지를 낼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한미는 다음 달 중순부터는 한미 연합 연습인 ‘자유의 방패(FS)’를 실시할 계획이다. 군 관계자는 “북한이 핵 탄도미사일 전력을 고도화할수록 연합 훈련도 강화하는 것이 정상”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