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14일 북한에 강제로 끌려간 납북자 가족을 청와대 영빈관으로 초청해 오찬을 함께했다. 역대 대통령 중 납북자 가족을 만나기는 윤 대통령이 처음이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남북 관계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는 이유 등으로 방치했던 납북자 문제를 풀어가겠다는 의지를 보인 것”이라고 했다.
미국과 일본은 외국에 납치된 자국인 문제를 국정의 최우선 순위에 두고 전방위적으로 대응해 왔다. 2009년 미국은 북한에 억류된 자국민 석방을 위해 클린턴 전 대통령을 북한에 보냈다. 트럼프 대통령도 2018년 북한에서 석방된 미국인 3명을 공항으로 나가 직접 맞았다. 일본의 아베 신조 전 총리는 납북자 문제에 정권의 명운을 걸다시피 했고 납북자 가족들을 수시로 만나 문제 해결을 약속했다.
반면 한국에선 납북자 문제가 역대 정권에서 뒷전이었다. 북한에 강제로 끌려간 납북자는 6·25전쟁 이후에도 3800여 명으로 추산되고, 이 중 516명이 억류됐지만 송환은 이뤄지지 않았다. 문재인 정부에선 북한이 억류한 김정욱 선교사 등 한국인 6명에 대한 송환 노력도 진행시키지 않아 ‘북한 눈치 보기’라는 비판이 일었다.
윤 대통령은 이날 국가유공자와 보훈 가족들을 영빈관으로 초청하면서 최성용 납북자가족모임 대표를 포함했다. 최 대표는 본지 통화에서 “문재인 정부는 북한과 대화한다며 납북자 가족을 한 번도 만나주지 않았다”며 “윤석열 정부의 관심과 노력이 위로가 된다”고 했다. 앞서 김건희 여사도 지난 4월 납북자 가족들과 면담했다. 윤 대통령은 작년 11월 한·미·일 정상회담에서 “기시다 총리와 바이든 대통령은 북한에 억류된 대한민국 국민이 즉각 석방돼야 한다는 데 대한 지지를 표명한다”는 내용의 발표를 이끌어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