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2일 고도화하는 북한의 무인기(드론)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드론 무기 체계를 2026년까지 현재 대비 2배 이상 확보하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그동안 도입이 지지부진했던 상용(민간용) 드론을 대대급 이하 모든 부대에 배치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상용 드론은 군용 드론에 비해 위력은 작지만 공격 무기로 쉽게 변환할 수 있어 가성비가 뛰어나다. 상용 드론은 최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스라엘·하마스·이란 등 중동 분쟁 등 세계가 군비 경쟁을 벌이는 상황에서 공격 무기로 활용되면서 ‘게임 체인저’로 부상했다.
대통령 직속 국방혁신위원회는 이날 장호진 국가안보실장 주재로 제4차 회의를 열고 이러한 ‘드론 전력 강화 방안’을 발표했다. 정부는 예산 투자를 확대해 국내 상용 드론 보급을 활성화하고 전력화 속도를 높이기로 했다. 국방혁신위는 “우리 군은 2026년까지 현재 대비 2배 이상 수준의 드론을 확보함으로써 북한의 무인기 대비 태세를 강화하겠다”고 했다. 그간 대대급 이하에는 정찰 드론만 있었지만, 대인·대전차 공격 능력을 갖춘 소형 드론도 보급될 전망이다.
정부의 이런 방침은 도입에 시간이 걸리는 군용 드론 개발과 함께 상용 드론을 소폭 개량해 군사용으로 활용하겠다는 취지다. 우크라이나군은 약 50만원짜리 중국 DJI 제품 등 상용 소형 드론을 활용해 수십억원짜리 러시아 전차를 파괴하는 성과를 거뒀다. 과거에는 드론을 K2 소총 같은 무기로 봤다면, 앞으로는 총탄 같은 소모품으로 보고 활용해야 한다는 논의도 국방혁신위에서 이뤄졌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