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가 7일(현지 시각) 발표한 미·일 정상회담 공동성명과 관련해 한국과 대만은 환영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각각 최대 안보 현안인 북한 비핵화, 대만해협 관련 문제에서 미국의 입장이 큰 틀에서 변함이 없음을 확인했기 때문이다.

우리 외교부는 8일 미국과 일본이 정상회담 공동성명을 통해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에 대한 확고한 의지를 재확인하고 한·미·일 공조 중요성을 확인한 것을 환영한다고 했다. 외교부는 “북한 불법 사이버 활동 및 러·북 군사협력 대응, 한·미·일 공조에 기반한 북한과의 대화 추진 등 미·일이 정상회담 계기 밝힌 한반도 문제에 대한 입장은 그간 우리 측이 각급에서 다양한 경로를 통해 미·일에 계속 전달한 대북 정책 방향과 일치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긴밀한 한·미·일 공조를 바탕으로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를 위한 외교적 노력을 적극 경주해 나갈 것”이라고 했다.

외교부는 북한을 향해서는 “한·미·일을 포함한 국제사회의 완전한 북한 비핵화 의지를 직시해 불법 핵미사일 개발과 도발을 중단하고 대화에 복귀할 것”을 촉구했다.

궈야후이(郭雅慧) 대만 총통부 대변인도 8일 “대만 해협의 평화와 안정, 대만의 국제적 참여에 대한 확고한 지지를 보여주기 위해 구체적인 조치를 취한 양국 정상에게 진심으로 감사를 표한다”며”(대만은) 미·일과의 3자 안보 파트너십을 심화시키고 규칙에 기반한 국제 질서를 수호하기 위해 노력하면서 자위 능력을 계속 강화할 것”이라고 했다. 미·일 정상은 중국이 민감하게 반응하는 양안(兩岸) 관계에 대해서 “중국의 힘과 강압에 의한 현상 변경에 반대한다”고 명시했는데 이에 따른 반응으로 해석된다. 미·일 공동성명은 “국제사회의 안보·번영을 위해 대만해협에서 평화와 안정을 유지하는 것이 필수”라며 “양안(兩岸) 문제의 평화적 해결을 장려하고, 일방적으로 힘이나 강압에 의해 현 상태를 바꾸려는 시도에 반대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