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군방첩사령부는 군내 보안, 방첩, 신원 조사, 동향 파악 등을 담당하는 국방부 직할 부대다. 국가 전복, 테러, 간첩 작전, 방산 스파이 관련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억제하는 ‘방패’ 역할을 한다.

국군방첩사령부의 뿌리는 1950년대 간첩을 잡기 위해 만들어졌던 특무부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후 육군방첩부대, 육군보안사령부를 거쳐 창설된 1977년 국군보안사령부를 전신으로 한다. 보안사는 1991년 국군기무사령부로 개편됐다. 문재인 정부 시절 박근혜 대통령 탄핵 국면에서 친위 쿠데타를 검토했다는 ‘계엄 문건’ 의혹이 제기되며 2018년 국군안보지원사령부로 이름을 바꿨다. 당시 문 정부는 ‘해체에 준하는 개편’이라며 기무사 해편(解編)이라고 했다. 소속 인원도 기무사 4200명에서 3000명 수준으로 30%가량 감축됐다. 정치 개입 및 민간 사찰은 금지됐고 수사권도 대폭 축소됐다.

윤석열 정부는 기무사 해편 과정에서 군 방첩 역량이 크게 훼손됐다고 판단, 2022년 안지사를 국군방첩사령부로 개편해 지금에 이르렀다. 방첩사는 군 내 정보 수집과 함께 국가보안법과 군사기밀보호법 등과 관련해서는 수사도 맡는다. 대령급 이상 진급 대상자의 세평 수집도 방첩사가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