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트 캠벨 전 미 국무부 부장관은 23일 “한국이 트럼프 대통령과 관세 협상할 때 조선업을 지렛대로 삼아야한다”면서 “미국은 민간·군수 조선업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밝혔다.
캠벨 전 부장관은 이날 서울에서 열린 아산정책연구원 주최 ‘아산플래넘’의 기조연설에서 이렇게 말하며 “건조 능력이 좋은 한국이 미국을 도와주면 파트너십이 강화되고 트럼프 행정부와 협상에도 유리한 고지를 차지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그는 바이든 행정부에서 국무부 부장관을 지내며 ‘아시아 차르’라 불리는 등 아시아와 인도태평양 지역 관련 대외 정책을 총괄했다. 바이든 행정부 핵심 인사 또한 트럼프 대통령이 한미 핵심 협력 사업으로 콕 집은 ‘조선’의 전략적 가치를 높이 평가한 것이다.
캠벨 전 부장관은 이날 “조선 분야를 협상 채널로 삼아서 다른 분야로 확대하면 방향이 잡힐 것”이라고도 했다. 한·미는 오는 24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에서 ‘2+2 통상 협의’를 통해 관세 협상을 진행한다.
캠벨 전 부장관은 미·중 관계를 두고 “양측이 방법을 찾아서 외교적 노력을 경주하는 모습을 보여줘야 한다”라며 “의사소통 채널을 열어놔야 잘못된 해석이 위기나 갈등으로 격화하는 걸 막을 수 있다”고 밝혔다. 캠벨 전 부장관은 “군사뿐 아니라 경제 측면에서도 대화가 이뤄질 수 있도록 외교적 환경이 만들어져야 한다”라고 했다. 미국과 중국은 서로 관세와 보복관세를 부과하면서 대치하고 있지만 뚜렷한 협상의 기미는 보이지 않고 있다.
앞서 미국 싱크탱크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도 기관지 퍼시픽포럼 기고를 통해 “미국 조선산업과 해군 재건을 위해서는 동맹인 한국과 협력이 필수적”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협력을 위한 가장 적합한 파트너로는 한국 대표 조선업체이자 특수선 ‘양강’인 한화오션과 HD현대중공업을 꼽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