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덕수 국무총리는 3일 “4·3 사건 희생자의 넋을 기리고 유가족의 아픔을 위로하는 것은 국가의 기본적인 책무”라며 내년까지 추가 진상조사를 마무리하겠다고 밝혔다.
한 총리는 이날 오전 10시 제주4·3평화공원에서 열린 제76주년 제주 4·3희생자 추념식에 정부 대표로 참석해 “크나큰 아픔을 감내해오신 생존 희생자와 유가족 여러분께 깊은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며 이 같이 밝혔다.
한 총리는 추념사에서 “4·3 희생자와 유가족 분들은 기나긴 세월 동안 제대로 된 진상 규명도 받지 못한 채 숨죽이며 살아왔다”며 “지난 2000년에 특별법이 제정되면서 희생자 분들의 명예 회복을 위한 길이 열렸다. 정부의 공식적인 사과와 함께 진상 조사와 희생자 신고 접수를 추진했다”고 했다. 이어 “2022년부터는 한국전쟁 전후에 일어난 민간인 희생 사건 중에서 사상 처음으로 국가 보상도 시행하고 있다”며 “정부의 이런 노력이 희생자와 유가족 분들의 한과 설움을 씻어낼 수는 없겠지만, 진심 어린 위로가 될 수 있기를 바란다”고 했다.
한 총리는 “올해 초 4·3 특별법을 개정해 사실과 다르게 왜곡된 가족관계를 바로잡을 수 있는 법적 토대를 마련했다”며 “그동안 가족관계 기록이 없어서 당연한 권리를 보장받지 못하셨던 분들이 명예 회복과 함께 보상받을 수 있게 됐다”고 했다. 이어 “2025년까지 추가 진상조사를 빈틈없이 마무리해, 미진했던 부분도 한층 더 보완해나가겠다”고 했다. “생존 희생자와 유가족의 온전한 회복을 위해 ‘트라우마 치유센터’의 설립과 운영에 더욱 힘쓰겠다. ‘국제평화문화센터’ 설립과 (4·3 사건 관련 기록물의)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도 노력하겠다”고도 했다.
한 총리는 “우리 정부는 제주도민의 뜻을 받들어 4·3 사건이 ‘화해와 상생의 역사’가 될 수 있도록 그 정신을 이어가겠다”며 “제주 4·3 영령들을 온 마음으로 추모하며, 유가족 여러분께 깊은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