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이 19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기자들에게 발언하고 있다./신화연합뉴스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사무총장이 북한 당국의 코로나 봉쇄로 주민들의 식량사정과 인권 침해가 더욱 악화됐다고 비판했다. 현재 국제사회의 인도주의적 지원이 필요한 북한 인구는 1060만명으로 추정되는데, 북한의 막무가내식 국경봉쇄로 아이들과 임산부 등 취약계층의 고통이 더 커졌다는 것이다.

미국의소리(VOA) 방송은 20일(현지시각) 구테흐스 사무총장이 제76차 유엔총회에 제출한 ‘북한 인권 상황 보고서’에서 북한 당국의 코로나 대응 조치가 특히 식량권에 악영향을 주고 있고 기존의 인권 침해 우려들을 더욱 심화시키고 있다고 지적했다고 보도했다.

보고서는 북한 정부가 코로나 확산을 막기 위해 국경을 봉쇄하고 이동 제한 조치를 강화하면서 직장들이 대거 문을 닫았고 시장에 유통되는 식량의 양과 질이 떨어졌다고 했다. 특히 식량과 필수 농자재 수입도 어려워져 주민들의 식량 불안정 문제가 심화됐고 식품 다양성도 악화됐다고 했다.

이런 상황에서도 북한 당국의 국경 봉쇄와 국내 이동 제한 조치로 2020년 8월 이후 국제 구호요원들과 외교관들이 북한에 입국할 수 없다. 이에 따라 필수적인 인도주의 물품들이 북한 국경 밖에 묶여 있고 북한 내부 현장 방문은 허용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올 3월 중순에는 유엔 소속 국제요원들이 단 한 명도 북한에 남아있지 않게 됐고, 이로 인해 북한 취약계층에 대한 생명선이 없어졌다고 했다. 보고서는 2021년 현재 1060만 명의 북한 주민들이 인도주의 지원을 필요로 하고 있는 것으로 추산되고, 국경과 시골 지역의 취약 계층의 상황은 더욱 악화됐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특히 5살 미만 어린이와 임산부, 수유모의 상황이 우려된다고 보고서는 밝혔다.

보고서는 또 북한 당국이 코로나 조치들로 주민들의 표현의 자유를 더욱 제한하고 있다고 했다. 또 북한 내 인권 침해 유형이 되풀이 되는 것을 새로운 정보로 계속 확인했다고 했고, 북한 내에서 주민들에 대한 자의적 체포와 구금이 계속되고 있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