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북 여성들이 자신의 성범죄 피해 사실을 고백하고 북한의 심각한 인권침해 실태를 고발했다.
북한 여군으로 6년간 복무한 탈북 여성 제니퍼 김씨는 최근 워싱턴의 민간단체인 북한인권위원회(HRNK)와 인터뷰를 갖고 “북한 여군에 대한 가장 심각한 인권 침해는 성폭행 범죄”라고 주장했다.
김씨는 “경험상 북한 여군의 거의 70%가 성폭행이나 성추행 피해자라고 생각한다”며 “나 역시 성폭행 피해자”라고 말했다.
그는 23세 때 부대 정치 군관에게 성폭행을 당했다. 이후 군의관에게 마취 없이 강제로 낙태 수술을 받았다고 한다.
김씨는 “조선노동당 입당 결정 등에 막강한 권한을 가진 정치 군관의 요구를 거부할 경우 자신의 미래가 송두리째 날아가기 때문에 그런 수모를 견뎌야 했다”고 말했다.
이어 “그 상처와 고통이 지금까지도 나를 괴롭힌다”며 “이런 경험으로 아이를 가질 수 없고 좋은 결혼을 하기도 힘들다”고 했다.
북한의 심각한 여성 인권침해는 군대 밖에서도 예외는 아니었다. 영국에서 북한 인권 운동가로 활동하는 탈북자 박지현씨도 지난달 유엔 여성기구 영국 국가위원회(UN Women UK)가 시작한 ‘젠더 기반 폭력 추방을 위한 16일의 캠페인(16 Days of Activism against Gender-Based Violence)’ 발대식에 참석해 북한 여성들이 겪는 폭력 피해를 증언했다.
지난 2일(현지시각) 미국의소리(VOA)에 따르면 박씨는 당시 “북한은 성폭력이나 성추행 같은 문제에 대해서 정부 자체가 관여를 안 한다고 봐야 한다. 오히려 피해자가 더 욕을 먹는 사회”라며 “특히 북한이 남녀평등법을 발표했어도 남녀에 대한 서로의 존중이 없기 때문에 남자가 여자한테 범죄를 저질러도 처벌할 수 없다. 아주 심각하다”고 말했다.
북한의 형법은 상관의 위력에 의한 성폭력에 대해 2년 이하 징역이나 엄중한 경우 5년 이하에 처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국제 인권단체들 사이에서는 북한 관리들의 부패와 위력, 가부장적 문화 때문에 제대로 이행되지 않는다는 지적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