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에서 유학중인 중국인 유학생이 평양 대성백화점에서 해외 유명 고급 브랜드 제품을 팔고 있는 모습을 공개했다. 북한에 대한 각종 수출을 제한하는 대북제재에 구멍이 뚫렸다는 지적이 나온다.
17일 자유아시아방송(RFA) 등에 따르면 북한에서 유학 중인 중국인 유학생들은 이달 초 소셜미디어(SNS)에 평양의 대성백화점을 방문한 사진들을 게재했다.
공개한 사진에는 ‘체육기재, 운동복’이라고 적힌 스포츠 코너에 아디다스, 나이키 등 유명 브랜드의 신발과 옷 등이 진열돼 있다. 또 화장품 코너로 보이는 곳에는 ‘샤넬’ ‘SK-II’ 등 유명 브랜드 매장이 입점한 모습이다.
이 밖에도 이 백화점에는 지미추 구두, 코치 가방 등이 진열돼 있었다.
식품관에서는 해외 브랜드 술과 담배 모습이 포착됐다. ‘고급술’이라고 적힌 주류 진열대에는 ‘발렌타인’ 30년산 등 각종 주류가 진열돼 있고, 담배 코너에서는 일본산 담배인 ‘세븐스타’가 쌓여 있는 모습이 보이기도 했다.
이 사진을 올린 중국인 유학생들은 “북한 사람도 나이키와 SK-II를 사용하는지 몰랐다” “마치 일본에 와 있는 것 같다” 등 백화점 광경이 신기하다는 식의 반응을 보였다.
평양 대성백화점은 사치품을 판매하는 주요 창구로, 김 위원장의 통치 자금 담당으로 알려진 북한 노동당 39호실이 관리하는 것으로 전해진다.
명품과 같은 사치품과 주류, 담배 등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의 결의에 따라 북한 반입이 금지돼있지만, 김정은을 비롯한 북한의 고위 관료들은 수시로 사치품들을 구매하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김정은은 신형 외제차를 타고 등장하기도 했다. 김정은은 지난 8월 평안북도 의주군 수해 현장 방문 당시 출시된 지 4개월이 채 되지 않은 독일 메르세데스-벤츠의 최고급 신형 SUV를 타고온 것으로 알려졌다.
딸인 김주애도 여러 차례 프랑스 명품 디올 옷을 착용하고 등장했다. 김정은 여동생 김여정 역시 지난해 9월 디올 가방을 들고 나타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