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사원이 월성 원전 1호기 감사 결과를 결정할 감사위원회를 추석 연휴 직후인 다음 달 8일 무렵 개최하는 방안을 유력 검토 중인 것으로 29일 알려졌다. 백운규 전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등 주요 피감사자들이 최근 조사 마지막 단계인 직권 심리에서 그간 진술을 뒤집는 일이 벌어졌지만, 기존 계획대로 원전 사건을 10월 초에 위원회에 부의(附議)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감사원에 대한 더불어민주당 등 여권의 압박 강도 또한 거세지고 있다.
복수의 여권·정부 소식통에 따르면, 감사원 감사위원회는 지난해 9월 30일 청구된 월성 원전 감사가 추석 연휴를 기점으로 1년이 되는 만큼 이 연휴 직후 회의를 열어 감사 결과를 낼 계획이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다음 달은 지난 4월 총선 전 감사 결과를 발표하려다 부실하다는 이유로 ‘보류’돼 재조사를 한 지 6개월 되는 시점이기도 하다.
최 원장 등 감사위는 이번 연휴 기간 그간의 조사 내용과 직권심리 결과를 최종적으로 종합 검토해 감사위원회 회의 안건으로 올릴지 결정할 전망이다. 백 전 장관 등 주요 피감사자들이 최근 직권심리에서 기존 진술을 번복하고 “감사팀이 고압적으로 조사했다”며 진술 효력을 부정했더라도, 규정상 감사위원회 회의를 여는 데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 전직 감사관은 “기존 조사에서 피감사자들이 자신들의 진술을 인정한다고 날인했기 때문에 설사 막판에 당사자들이 이를 다 부인하더라도 이전 진술서의 효력이 사라지진 않는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감사위원들이 피감사자들의 막판 진술 번복도 하나의 참고사항으로 검토해 부의 여부를 결정할 것”이라고 했다.
감사원 안팎에선 “최 원장이 마지막 ‘시험대’에 올랐다”는 말이 나온다. 원전 감사를 한 지 1년이 된 만큼 더 이상 발표를 미루는 것은 최 원장에게 큰 부담이 된다는 것이다. 특히 여당은 최근 최 원장의 동서가 원전 과학자인 점 등 친인척 문제까지 국회 법사위에서 공개 거론하며 ‘최 원장 흔들기’를 하고 있다. 국회 법사위 민주당 위원은 지난 7월 회의에서 이례적으로 원전 감사 담당 국장을 자리에서 일으켜 세우고 감사 과정과 관련해 질타하고, 곧바로 최 원장에게 “저런 사람이 국장에 적합하냐”고 따지기도 했다. 일부 친여 성향의 탈원전 단체는 ‘최 원장이 원전 감사 내용 일부를 원전 과학자인 동서에게 유출했다’는 주장까지 하면서 최 원장의 중립성에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감사원은 이와 관련해 “전혀 사실이 아니다”라고 부인했다.
여당은 신임 감사위원(차관급) 인선과 관련해서도 최 원장을 압박하고 있다. 청와대는 지난 4월 총 6명의 감사위원 중 한 자리가 공석이 되자 후임으로 조국 전 장관의 측근으로 꼽히는 김오수 전 법무부 차관을 추천했지만, 최 원장은 중립성 문제를 들어 거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여권은 여전히 ‘김 전 차관 카드’를 버리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여권 관계자는 “신임 감사위원 인선은 월성 원전 감사 결과 상황을 보고 본격적으로 논의되며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면서 “김 전 차관의 감사원행(行)은 여전히 살아있는 카드”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