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역사 왜곡’ 논란을 일으킨 설민석씨에 대해 석사 논문 표절 의혹이 제기됐다.
온라인 매체 디스패치는 29일 설씨의 석사 논문을 입수해 논문 표절 검사 소프트웨어인 ‘카피킬러’로 확인한 결과 표절률이 52%로 나타났다고 전했다.
매체에 따르면 설씨의 논문은 747개 문장으로 이뤄져 있다. 이 중 100% 표절률을 기록한 문장은 187개, 표절 의심 문장은 332개로 파악됐다. 아울러 카피킬러 소프트웨어는 설씨가 표절했을 것으로 의심되는 논문의 개수를 약 40여개라고 제시했다.
특히 ‘카피킬러’는 설씨의 논문 ‘제5장 결론 및 제언’ 부분과 2007년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논문의 결론 부분이 100%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했다. A4용지 한장 분량에 달하는 결론 부분이 한 대학원생의 앞선 논문과 동일했다는 주장이다.
설씨는 단국대학교에서 연극영화학을 전공하고, 2010년 연세대 교육대학원에서 ‘한국 근현대사 교과서 서술에 나타난 이념 논쟁연구’ 논문으로 석사 학위를 받았다. 최근 tvN ‘설민석의 벌거벗은 세계사’가 역사 왜곡 논란을 일으켜 사과를 하기도 했다.
카피킬러는 대중적인 논문 표절 검사 프로그램으로, 일반적으로 대학 현장에서는 표절률 20% 미만을 기준으로 요구하고 있다. 가수 홍진영씨도 최근 카피킬러 검사에서 논문 표절률이 74%로 나타나 석사 학위가 취소된바 있다.
앞서 ‘설민석의 벌거벗을 세계사’의 역사 왜곡 논란은 고고학자인 곽민수 한국 이집트학 연구소장이 20일 소셜미디어에 이 프로그램의 이집트 편을 공개 저격하면서 시작됐다. 곽 소장은 19일 방송에 대해 “사실관계 자체가 틀린 게 너무 많아서 하나하나 언급하기가 힘들 지경”이라고 지적했다.
설민석은 최근 ‘음악사 왜곡 논란’에도 휩싸였다. 자신의 유튜브 채널에서 “재즈가 초심을 잃어 탄생한 것이 R&B(리듬앤블루스)”라는 취지의 주장을 했다가 음악 전문가들로부터 “허위사실 유포” 등의 비판을 받았다.
설민석은 이에 대한 입장은 아직까지 내놓지 않고 있다. 대중은 설민석이 한국학 등 자신의 전문 분야 강의에 대한 전문성은 인정하면서도, 다른 전문 분야에 대해 접근할 때는 신중해야 한다는 목소리를 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