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법·사법·행정부 고위 공직자들의 1인당 평균 재산이 국회의원(298명)은 28억4000만원, 고위 법관(144명)은 37억6400만원, 1급 이상의 청와대·정부 고위 관리(1885명)는 14억1297만원으로 각각 집계됐다.

25일 공개된 공직자 재산변동 신고 결과에 따르면, 재산이 가장 많은 국회의원은 무소속 전봉민 의원으로 비상장 주식 858억7300여만원어치를 포함해 총 914억2000여만원이었다. 무소속 박덕흠 의원이 토지와 건물 314억3600여만원 등 총 559억8800여만원으로 뒤를 이었다.

신고 금액대별로는 5억원 미만 43명(14.4%), 5억~10억원 66명(22.1%), 10억~20억원 89명(29.9%), 20억~50억원 76명(25.5%), 50억원 이상 24명(8.1%)이었다. 재산이 늘어난 의원은 247명(82.9%), 줄어든 의원은 51명(17.1%)이었다.

청와대와 정부 고위 공직자들의 신고 재산은 전년보다 평균 1억3112만원 증가했다. 79.4%(1496명)는 재산이 늘었고, 나머지 389명(20.6%)은 재산이 줄었다. 재산 총액 1위는 165억3100만원을 신고한 김종갑 한국전력 사장, 재산이 가장 많이 늘어난 공직자는 김종한 부산시의원(45억원 증가)이었다.

인사혁신처 관계자들이 지난 24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관보를 통해 공개된 재산공개대상 공직자 1천885명의 정기 재산변동사항 신고내용을 살펴보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은 1억2700만원 증가한 20억7600만원의 재산을 신고했다. 청와대 참모 중엔 서훈 국가안보실장(45억3300만원)이 가장 많았다. 정세균 국무총리의 재산은 5억6000만원 줄어든 44억9300만원이었다. 국무위원 중엔 최기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119억3100만원으로 재산이 가장 많았다. 광역자치단체장 중엔 이춘희 세종시장(32억5500만원)이 1위였고, 이재명 경기지사(28억6400만원)가 뒤를 이었다.

고위 법관 중에선 강영수 인천지법원장의 재산이 498억9700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김동오 의정부지방법원 원로법관(236억2500만원)이 둘째로 많았고 윤승은 서울고법 부장판사(175억2200만원)가 뒤를 이었다. 김명수 대법원장의 재산은 2억2200만원 감소한 11억7800만원으로 나타났다. 장남의 재산 공개 거부가 주된 원인이 됐다.

헌법재판소도 고위 공직자 13명의 재산을 공개했다. 평균 재산은 27억2200만원이었고 평균 증가액은 2억5400만원이었다. 이미선 재판관의 재산이 52억9900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유남석 헌재소장의 재산은 31억2200만원으로 1년 전보다 4억4700만원 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