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보훈처는 지난 2월 국립대전현충원 백선엽 장군묘 안내판이 친여 단체 항의 직후 철거된 것과 관련, “방문객이 줄어서 철거가 예정됐었다” “임시 안내판이었다”고 해명했었다. 그러나 이 해명이 사실과 다른 거짓말이었다는 야당 지적이 6일 제기됐다.
보훈처는 최근 백 장군묘 안내판이 철거 예정이었다는 근거 자료를 제출하라는 국민의힘 정경희 의원실에 “별도 자료는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고 했다. 지난 2월 5일 민족문제연구소가 대전현충원에서 백 장군묘 안내판을 철거하라고 항의하자 현충원 측은 당일 안내판을 뽑아냈다.
6·25전쟁 영웅인 백 장군의 안식을 방해했다는 논란이 커지자 보훈처는 같은 달 8일 보도자료를 내고 “안내판은 임시 안내판이며, 최근 방문객 감소로 철거가 예정돼 있었다”고 했다. 그러나 보훈처는 정 의원실 측에 철거를 미리 논의한 회의 자료 등을 제출하지 못했다. 보훈처는 “2월 5일 오후 관리과장이 민족문제연구소 관계자와 면담 후 대전현충원장에게 구두로 관련 내용을 보고하고 철거를 결정했다”고 했다. 결국 친여 단체 항의로 철거했다는 사실을 인정했다는 것이 정 의원 지적이다.
‘임시 안내판’이었다는 현충원 설명도 사실과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보훈처는 임시안내판 설치 규정을 묻는 정 의원측 질문에 “영구·임시를 나누는 근거 규정은 없다”고 답했다. 정 의원은 “보훈처가 백 장군묘 안내판 철거를 합리화하기 위해 거짓말을 지어낸 것”이라며 “이미 철거 예정인 임시 안내판이라는 설명이 모두 사실과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고 했다.
보훈처의 거짓 해명 논란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지난 3월엔 대전현충원 서해 55용사 묘역에 놓였던 문재인 대통령 조화 당일 철거 논란과 관련, 보훈처는 “당일 수거가 원칙”이라며 “작년 서해수호의 날에도 당일 수거했다”고 했었다. 그러나 지난해 서해수호의 날 55용사 묘역 조화는 행사 3일 뒤 철거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정경희 의원은 “호국 영령을 기리고 국가 공동체의 기억을 보존해야 할 보훈처가 순간의 위기를 모면하기 위해 얄팍한 거짓말을 상습적으로 일삼고 있다”며 “백 장군묘 안내판을 즉각 복구하라”고 했다. 보훈처는 “관계자에 대해 엄중 경고하고 관련 규정 정비 등 국립묘지 관리 시스템을 바로잡는 계기로 삼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