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해협 안정 문제를 처음으로 언급한 한·미 정상회담 공동성명에 대해 중국 정부가 24일 “대만 문제는 중국 내정(內政)”이라며 “말과 행동에 각별히 조심하라”고 경고했다.
자오리젠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 기자회견에서 “한·미 공동성명에서 대만, 남중국해가 제기됐다”며 “(공동성명은) 중국 내정을 비롯해 제3자의 이익을 침해해서는 안 된다”고 했다. 이어 “대만 문제는 완전히 중국 내정이며 중국의 주권과 영토 완성에 관한 사안”이라며 “어떤 외부 세력의 관여도 허용하지 않을 것이며, 관련 국가들이 대만 문제에 대한 말과 행동에 각별히 조심하고, 불장난하지 말 것을 촉구한다”고 했다.
자오 대변인은 남중국해 문제에서도 “국제법에 근거해 항행(航行)의 자유를 누리는 데 아무 문제도 없다”며 “한 국가나 몇 개 국가가 국제 질서를 일방적으로 정할 자격이 없으며, 자기의 기준을 남에게 강요해서는 안 된다”고 했다. 미국, 필리핀 등은 중국이 남중국해에서 인공섬을 만들고 영해를 선포하는 등의 행동에 대해 항행의 자유를 침해하고 있다며 반대해왔다.
이 같은 중국의 반응은 지난 4월 미·일 정상회담 때보다는 강도가 약한 편이다. 중국은 미·일 정상회담에서 대만, 센카쿠(중국명 댜오위다오) 열도, 남중국해 등의 문제가 언급되자 당일 “중국 내정에 대한 거친 간섭”이라며 보복까지 언급했다. 한·미가 처음으로 대만 문제를 언급했지만 문재인 정부가 일본과 달리 미국의 대중 압박 전략에 전면 동참은 하지 않고 있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청와대는 이날 공동성명에 중국을 겨냥한 문구가 대거 들어간 것에 대해 적극 해명했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미국은 외교·안보의 근간이자 평화·번영의 핵심축이고, 중국은 무역 및 한반도 문제 관련 주요 역할을 하는 파트너”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번 방미와 관련해선 외교부 등을 통해 중국 측과 필요한 소통을 해 왔다”며 “중국도 우리가 처한 상황을 이해하는 태도”라고 했다. 청와대는 이번 성명에 중국을 명시하지 않은 점을 강조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