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이준석 대표는 14일 정부의 코로나 거리두기 4단계 조치에 포함된 ‘그룹운동(GX) 음악속도 100~120BPM 제한’과 관련, “과학적이지 않은 기준은 불공정하기 때문에 많은 사람을 당혹스럽게 하고 화나게 한다”고 했다.
이 대표는 이날 강원 원주의 한 실내 체육관에서 열린 코로나 피해 대책 간담회에 참석, “과학적으로 이해되지 않는, 차라리 문을 닫으라는 것 아닌가 하는 방역 규제들은 재검토해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체육인들은 이 대표에게 ‘정부가 우리에게 납득 가능한 대안을 제시해줬으면 좋겠다’고 호소했다.
한 스피닝(실내 자전거) 강사는 “배경 음악을 120BPM 이하로 하면 페달링 박자를 놓치게 돼 바른 자세로 운동하기가 어렵다. 부상 위험도 커진다”며 “수업을 하지 말라는 무언의 압박 같은 느낌”이라고 했다.
이날 이 대표는 MMA(종합격투기) 링 위에 올라 글러브를 착용한 뒤 정문홍 로드FC 회장에게 스파링 지도를 받기도 했다.
정 회장은 “실내 체육인 대부분이 20~30대”라며 “지금 정책으로는 문 닫고 굶으라는 얘기밖에 되지 않는다. ‘정치인, 공무원, 직장인, 학생, 노인들을 위해서 젊은 놈들은 죽어줘’라는 얘기로도 들린다”고 했다.
그는 “기성세대와 싸우라고 이 대표님을 뽑은 것”이라며 “이 대표님은 끝까지 굽히지 말고 싸워주시길 바란다. 꼭 젊은 대표님이 기성세대의 틀을 깼으면 좋겠다. 실내체육인들이 힘을 합쳐서 응원하겠다”고 했다.
이 대표는 “그는 “전문가들과 충분한 의견 교류가 필요한데, 과학적으로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을 방역에 적용하는 것은 차라리 문을 닫으라는 규제”라고 했다.
이어 “확진자 수를 기반으로 한 통제식 방역이 어디까지 유지될 수 있을지 근본적 고민을 하고 있다”며 “이 기준을 유지하면 경제 활동을 붕괴시킬 수 있겠다고도 고민하게 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