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보훈처는 21일 김원웅 광복회장 부모의 ‘가짜 광복군 독립운동’ 논란과 관련, “각종 의혹을 조사한 결과 기존 서훈을 변경할 만한 사유가 없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런 보훈처 설명에도 의혹들이 남아있다. 보훈처는 김 회장 부모 관련 의혹에 대해 ‘과거 행정 오류’ ‘확인 불가’라고만 했다. “김 회장 측에 유리한 부분만 인정해 서둘러 면죄부를 준 것 아니냐”는 말이 나오는 까닭이다. 일부 광복회원은 그간 ‘독립운동가 김근수’와 김 회장 부친 김근수가 다른 인물이며, 김 회장 모친 전월선씨는 실제 독립운동을 했던 언니의 공적을 가로챘다는 의혹을 제기해왔다.
◇부친 생존 때 작성된 공적서에 ‘작고’
김 회장 부친 김근수씨는 1992년 사망했다. 그런데 1963년 대통령 표창을 받을 당시 김근수씨 공적 조서에 ‘作故’(작고)라고 표기돼 있다. 김 회장 부친과 동명이인일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보훈처는 이에 대해 “행정 오류로 추정한다”고 했다. 그 근거로 “1963년 포상을 받은 김근수씨와 김 회장 부친의 1962년 주민등록표 주소가 ‘대현동 산 18’으로 동일하다”는 점을 들었다. 보훈처는 또 1963년 서훈 당시, ‘사망’으로 보도됐으나 생존한 사례가 김 회장 부친 말고도 2건 더 있다고 했다. 이런 유의 기록 오류가 드문 일이 아니라는 것이다.
그러나 보훈처는 김근수씨의 1963년 대통령 표창, 1990년 건국훈장 공적서에 기재된 활동 내역이 엇갈리는 점이나, 임시정부 문서에 ‘평북’으로 기록된 김씨 출신지가 1990년 공적서에선 ‘경남 진양(진주)’으로 기재된 점에 대해서는 별다른 설명을 내놓지 않았다.
◇동명이인 독립운동가 가능성?
김 회장 모친 전월선(1923~2009)씨는 전월순이란 이름으로 독립운동을 했다고 신청해 포상을 받았다. 하지만 이후 전씨 언니 전월순(1921~1953)이란 인물이 실존한 것이 확인돼 논란이 일었다. 전월선씨가 언니 공적을 가로챈 것 아니냐는 의혹이다. 보훈처는 이에 대해 “전월선씨가 중국에서 독립운동을 하던 1939~1945년, 전월순씨는 경기 김포군에서 자녀 3명을 낳아 출생 신고한 사실을 확인했다”며 “이런 점으로 볼 때 언니 전월순씨는 독립운동과는 거리가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고 했다. 김 회장도 지난 6일 라디오에서 “(이모인 전월순의) 자식들을 만나서 확인했더니 ‘우리 어머니는 독립운동을 한 적이 없다’고 말했다”고 했다.
그러나 보훈처와 김 회장이 전월순이라고 밝힌 인물은 김 회장 모친 일가 제적부에 나타난 전월순(全月順)이 아니라 전월순(田月順)이다. 한자 이름, 본적, 출생 및 사망 연월일, 부모 이름이 모두 다르다. 서류상으로는 완전히 다른 인물이라는 것이다. 이와 관련, 보훈처는 “전월순(田月順)씨 부친 제적부를 확인하려 했으나 자료가 없어 확인이 불가능했다”고 했다.
보훈처는 김 회장이 소개한 전월순씨 자녀를 접촉해 이들이 김 회장의 또 다른 이모와 같은 모계 혈통이 맞는지 확인하기 위해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 DNA 감정을 의뢰했다. 보훈처는 “동일 모계 혈통이 인정된다”는 답을 받았다고 했다. 그러나 이에 대해서도 “이 결과가 이들이 실제 전월순씨 자녀라는 사실을 증명하는 것은 아니다”라는 지적이 나온다. 일부 광복회원은 “두 명의 전월순이 존재한다면 누가 독립유공자인지 확인 안 된 상황에서 보훈처가 결론을 내린 것 아니냐”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