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대선 경선 후보들이 26일 열린 3차 TV토론에서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과 사면 문제를 두고 공방을 벌였다.
이날 밤 채널A가 주관한 3차 토론에서 유승민 전 의원은 윤석열 전 검찰총장을 향해 “박 전 대통령에 대해 45년을 구형했다”고 했다. 윤 전 총장이 박영수 특검에서 수사팀장을 맡아 박 전 대통령에 대해 직권남용 등으로 45년형을 구형한 것을 겨냥한 것이다. 이에 윤 전 총장은 “양형 기준표대로 (구형)하게끔 되어 있다”고 답했다. 이어 유 전 의원이 “박 전 대통령 사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고 묻자 윤 전 총장은 “개인적으로는 이 정도 고생하셨으면 댁에 돌아가게 해 드려야 하지 않겠느냐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유 전 의원이 “45년을 살아야 한다고 구형했는데”라고 하자 윤 전 총장은 “그것은 재판에서 하는 것이고 사면은 정치적으로 하는 것 아니겠느냐”라고 했다.
유 전 의원과 홍준표 의원도 박 전 대통령 탄핵을 두고 언쟁을 벌였다. 유 전 의원이 홍 의원에게 “박 전 대통령에 대해 ‘춘향인 줄 알았는데 향단이다’라고 발언했다”고 지적하자, 홍 의원은 “그것은 국민이 그렇게 생각했다는 것”이라고 되받았다. 유 전 의원이 “거짓말”이라고 하자 홍 의원은 “탄핵 문제는 일관되게 안 된다고 했다”고 했다. 유 전 의원이 탄핵소추안 표결 때 찬성한 것을 겨냥한 것이다.
유 전 의원은 이날 대장동 개발 의혹에 연루된 법조계 인사들을 두고 “우리나라 판·검사들이 이렇게 더럽게 썩었나 싶다”라고 했다. 그러자 윤 전 총장은 유 전 의원의 말이 끝나기 전에 발언권을 얻어 “일반적으로 판검사를 지칭해 말하면 묵묵하게 희생해가며 법과 원칙을 지켜 나가는 사람에게 할 말은 아니다”라고 했다. 홍 의원은 윤 전 총장을 향해 “‘작전계획 5015′가 무엇인지 아느냐”고 물었다. 윤 전 총장은 “남침이나 비상시에 발동되는 작전계획 아니냐”고 했고, 홍 의원은 “그것이 아니라 한미연합사령부의 전시 상황에서의 대북 계획”이라고 했다.
현 정부가 2017년 대중관계 회복을 위해 중국과 합의한 이른바 ‘3불(三不) 정책’에 대해서도 유 전 의원과 윤 전 총장은 논쟁을 벌였다. 삼불 정책은 ▲사드를 한반도에 추가로 전개하지 않고 ▲미국의 미사일방어체계(MD)에 가입하지 않고 ▲ 한미일 안보협력을 군사동맹으로 발전시키지 않는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유 전 의원은 “삼불 정책을 폐기하지 않겠다는 입장인가”라고 물었고, 윤 전 총장은 “(삼불 정책은) 현 정부의 입장에 불과한 것이고 법적 효력이 있는 것도 아니다”라며 “무시하면 되는 것”이라고 했다. 그러나 유 전 의원은 “윤 후보의 캠프에 김성한 고려대 교수는 폐기를 주장하고 있다. 의논을 다시해보라”고 했다.
홍 의원은 윤 전 총장을 향해 “민주당 지지자들이 뽑은 가장 만만한 후보가 윤 후보라고 한다. 어떻게 생각하느냐”고 물었다. 윤 전 총장은 “그것에 대해서는 논평하지 않겠다”며 “홍 후보가 홍보에 쓰는 것 같다. 그렇게 만만하다면 저를 두고 이렇게 공격하겠느냐”라고 했다.
국민의힘 대선 주자들은 이재명 경기지사가 추진한 대장동 개발을 둘러싼 의혹에 대해 신속한 특검 수사를 주장했다. 홍 의원은 “특검이 아니면 실체를 밝힐 수 없다”고 했다. 원희룡 전 제주지사는 윤 전 총장과 유 전 의원을 향해 “대선 캠프가 공동으로 화천대유 특별팀을 만드는 것은 어떻겠느냐”라고 제안했다. 윤 전 총장과 유 전 의원은 후보 캠프뿐 아니라 당 차원에서 특별팀 구성을 논의해야 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