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국민의힘 대선후보가 10일 광주(光州)를 찾아 자신의 ‘전두환 옹호 발언’ 논란에 대해 사과했다.
윤 후보는 이날 광주 국립 5·18 민주묘지에서 참배를 하려 했지만 반대하는 시민들에 가로막혔다. 윤 후보는 결국 추념탑 앞 참배단에 접근하지 못한 채 추념문과 참배단 사이에서 약식으로 참배한 뒤 묘지를 떠났다.
윤 후보는 우산도 쓰지 않고 비를 맞으며 추모의식을 치른 후 준비한 성명을 발표했다. 윤 후보는 5·18묘지 도착 약 20분 만인 오후 4시 40분경 발길을 돌렸다. 이후 비가 그치면서 5·18묘지 하늘에 무지개가 떴다.
당시 현장에 모여 있던 지지자들은 무지개에 대해 “성스러운 징조”라고 평가한 반면 참배 반대 시민들은 “오죽하면 하늘도”라고 정반대의 해석을 내놨다.
윤 후보는 성명을 통해 “제 발언으로 상처받으신 모든 분들께 머리 숙여 사과드린다. 저는 40여년전 오월의 광주시민들이 대한민국의 민주주의를 위해 피와 눈물로 희생하신 것을 똑똑히 기억하고 있다”라며 “광주의 아픈 역사가 대한민국에 자랑스러운 역사가 됐고, 광주의 피가 대한민국의 민주주의를 꽃 피웠다”라고 했다.
이어 “그러기에 이 시대를 사는 우리 모두는 오월광주의 아들이고 딸이다”라며 “제가 대통령이 되면 슬프고 쓰라린 역사를 넘어, 꿈과 희망이 넘치는 역동적인 광주와 호남을 만들겠다. 지켜봐 달라”라고 했다.
그러면서 윤 후보는 “여러분께서 염원하시는 국민통합을 반드시 이루어 내고, 여러분께서 쟁취하신 민주주의를 계승 발전시키겠다”라고 했다.
윤 후보는 참배를 마친 후 기자들과 만나 “제 발언으로 우리 상처 받으신 모든 분들께 사과를 드렸고 또 이 마음은 제가 오늘 이 순간 사과드리는 순간으로 끝나는 게 아니라 우리 상처 받으신 국민들, 특히 광주 시민 여러분께 이 마음을 계속 가지고 가겠다”라고 했다.
항의 인파에 막혀 참배단에 접근하지 못한 것에 대해서는 “저분들의 마음을 제가 십분 이해를 하고 제가 우리 5월 영령들에 분향도 하고 참배도 했음 더 좋았을 텐데, 그래도 많은 분들이 협조해주셔서 이 정도로 제가 분향은 못 했지만 사과드리고 참배할 수 있던 것이 참 다행이라고 생각하고 있다”라고 했다.
윤 후보는 “저는 쇼 안 한다”면서 “이걸로 (사과가) 끝나는 게 아니라 이 마음을 계속 가져가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