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에서 코로나 확진자가 급증해 사흘 연속 7000명대를 기록하고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 검출률이 50%를 넘자 정부가 24일 설 연휴 기간 고향 방문을 자제해 달라고 요청했다. 오미크론 변이가 한국에서도 코로나 우세종이 된 상황에서 설연휴 이후 코로나 확진자가 급증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김부겸 총리는 부득이하게 고향을 방문해야 한다면 3차 백신 접종을 해줄 것도 요청했다.
김 총리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대국민 담화문을 발표하고 설 연휴기간 이동을 자제해줄 것을 요청했다. 김 총리는 담화에서 “정말 송구스럽지만, 이번 설에도 모두의 안전과 건강을 위해 고향 방문을 자제해 주실 것을 간곡히 요청한다”며 “설 연휴에 많은 사람이 지역 간에 활발히 이동하고 서로 만나게 된다면 타오르는 불길에 기름을 붓는 것과 다를 바 없다”고 했다. 그러면서 “지난해 추석만 해도 연휴가 끝나자마자 확진자 수가 38%나 급증한 일을 생생히 기억한다”며 “설 연휴를 안전하게 보내야만 우리는 오미크론과의 싸움에서 승기를 확보할 수 있다”고 했다.
김 총리는 “본인이나 연로하신 부모님께서 3차 접종을 마치지 못하셨다면, 부모님을 위해서라도 고향 방문을 피해 달라”며 “요양병원과 요양시설은 설 연휴기간 접촉 면회가 금지된다”고도 했다. 그러면서 “불가피하게 고향을 방문해야 한다면 설 연휴가 시작되기 전 3차 접종을 마쳐달라. 출발 전에 꼭 진단검사를 받아달라”며 “고속도로 휴게소 등 9곳에 임시 선별검사소를 추가 설치하는 만큼 귀성길에 조금이라도 의심이 들면 검사소를 찾아달라”고 했다.
김 총리는 “우리보다 먼저 오미크론을 경험한 나라의 경우, 그 비율이 60%를 넘는 순간부터 확진자가 폭증하는 경향을 뚜렷이 보여준다”며 “(오미크론의) 위험도가 낮아도 짧은 시간에 확진자가 폭증하면 의료현장에 과부하가 걸린다”고 했다. 그러면서 “지역 의사회를 비롯한 의료계의 적극적인 협력도 요청한다”고 했다.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신규 확진자 수는 7513명으로, 지난 22일부터 사흘째 7000명대를 이어가고 있다. 특히 지난 16∼22일 일주일간 국내에서 오미크론 변이 감염자가 4830명 확인돼 누적 감염자가 9860명으로 늘었다. 지난주 오미크론 변이의 국내 검출률이 50.3%를 기록하면서 우세종이 됐다.
전문가들 사이에선 오미크론 변이 확산에 따라 내달 신규 확진자가 2만명에 달할 수도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정부는 이처럼 오미크론 변이가 우세종이 됨에 따라 방역체계를 ‘대응 단계’로 전환한다는 방침이다. 먼저 방역 부담을 줄이기 위해 26일부터 백신접종을 완료한 확진자의 격리기간을 10일에서 7일로 줄인다.
또 광주, 전남, 평택, 안성 등 오미크론 우세화 지역 4곳에서는 60세 이상, 밀접접촉자 등 고위험군부터 PCR(유전자증폭) 검사를 하는 등 새 방역체계를 시행하고 추후 전국으로 확대 적용할 예정이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미크론 변이가 코로나우세종이 돼 확진자가 급증하는 상황과 관련해 “정부가 선제적으로 준비해 온 오미크론 대응체계로 신속히 전환하고 일사불란하게 대응하라”고 지시했다. 문 대통령은 참모들에게 “오미크론 확산세가 매우 빨라 우세종이 됐고, 단기간에 확진자가 폭증할 수 있어 무엇보다 (대응의) 속도가 중요하다”고 박수현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이 서면브리핑을 통해 전했다.
문 대통령은 “총리 중심으로 범정부적으로 총력 대응해 새로운 방역·치료 체계를 조속히 구축해야 한다”고 했다.
이어 “새로운 검사체계와 동네 병·의원 중심 재택치료 등 정부의 오미크론 대응 내용과 계획을 충분히 국민에게 알려야 한다”며 “의료기관과도 협력하길 바란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국민께서도 백신 접종 참여와 마스크 착용, 설 연휴 이동·모임 자제 등 오미크론 대응에 동참해 주기를 당부 드린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