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일보·TV조선이 칸타코리아에 의뢰한 조사에서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와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의 단일화가 이뤄질 경우 누가 야권 후보로 나서도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를 오차 범위를 벗어나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윤 후보와 안 후보가 모두 출마하는 다자 대결에선 윤 후보(35.0%)와 이 후보(31.0%)가 오차 범위(95% 신뢰 수준에서 ±3.1%포인트) 내 접전을 벌였다. 지지율 차이가 통계적으로 순위를 매길 수 없을 정도란 것이다. 하지만 야권 후보 단일화가 이뤄진다면 누가 단일 후보로 이 후보와 맞서도 12~20%포인트 차이로 앞섰다. 야권 단일화 여부가 대선 판세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클 것이란 의미다.

이 조사에서 윤 후보가 야권 단일 후보로 나설 경우를 가상한 3자 대결 지지율은 윤 후보 42.4%, 이 후보 30.3%, 정의당 심상정 후보 4.0%였다. 지난달 15~16일 칸타코리아 조사 결과 윤 후보가 단일 후보로 나선 3자 대결에서 윤 후보(39.3%)가 이 후보(32.2%)를 7.1%포인트 앞선 것과 비교하면, 차이가 12.1%포인트로 더 벌어졌다. 연령별로 살펴보면 단일화된 윤 후보는 이 후보를 20대(40.8% 대 8.9%), 30대(35.4% 대 31.2%), 50대(42.4% 대 39.1%), 60대 이상(58.2% 대 24.1%) 등에서 앞섰고, 40대(24.6% 대 49.7%)에서만 이 후보가 우세했다. 지역별로도 호남을 제외한 전 지역에서 윤 후보 지지율이 더 높았다. 중도층에서도 윤 후보(35.7%)가 이 후보(27.6%)보다 강세였다.

안 후보가 야권 단일 후보로 나서는 3자 대결에선 2위인 이 후보와 차이가 윤 후보가 단일 후보로 나섰을 때보다 더 벌어졌다. 안 후보는 45.6%였고 이 후보가 25.7%, 심 후보는 2.7%였다. 1월 중순 조사에서 안 후보(47.9%)가 이 후보(26.6%)를 21.3%포인트 앞섰던 것과 비슷한 19.9%포인트 차이였다. 단일화된 안 후보도 40대를 제외한 모든 연령층에서 이 후보를 앞섰고, 호남권을 제외한 전 지역에서 이 후보보다 지지율이 높았다.

윤 후보보다 안 후보가 야권 단일 후보일 때 이 후보와 격차가 더 큰 이유는 윤 후보와 안 후보 지지층이 결합하는 시너지 효과가 더 강해지기 때문이다. 윤 후보가 야권 단일 후보가 된다면 다자 대결에서 안 후보를 지지했던 유권자 중에선 윤 후보 쪽으로 이동하는 비율(35.7%)보다 부동층으로 바뀌는 경우(40.3%)가 더 많았다. 이에 비해 안 후보가 야권 단일 후보가 된다면 기존 윤 후보 지지자의 다수(63.5%)가 안 후보 쪽으로 이동했고 부동층으로 바뀌는 비율은 30.1%였다.

한편 이번 조사에서 전체 응답자 가운데 윤석열·안철수 후보의 야권 단일화가 ‘필요하다’가 43.6%, ‘필요하지 않다’는 45.1%였다. 1월 15~16일 칸타코리아 조사에서 야권 단일화가 ‘필요하다’가 46.0%였던 것과 비슷했다. 야권 단일화에 대한 필요성은 보수층과 정권 교체를 원하는 유권자층에서 더 높았다. 보수층의 63.2%, 정권 교체 찬성자도 61.7%가 ‘야권 단일화가 필요하다’고 했다. 윤 후보 지지자는 70%, 안 후보 지지자도 58%가 야권 단일화를 찬성했다. 이 후보 지지층의 71.2%는 단일화를 반대했다.

◇조사 어떻게 했나

조선일보와 TV조선은 칸타코리아에 의뢰해 2월 4~5일 전국 18세 이상 유권자 1006명을 대상으로 휴대전화(89.0%)와 집 전화(11.0%) 임의 전화 걸기(RDD)를 활용한 전화 면접원 방식으로 조사를 실시했다. 표본은 2022년 1월 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 기준으로 성·연령·지역별로 할당 추출했으며, 인구 비례에 따른 가중치(셀 가중)를 부여했다. 표본 오차는 95% 신뢰 수준에 ±3.1%포인트, 응답률은 10.8%다. 상세 자료는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