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은 14일 “앞으로 대통령실 업무에서 민정수석실을 폐지하고 사정·정보조사 기능을 철저히 배제하겠다”고 밝혔다. 정권이 바뀔 때마다 반복돼온 청와대의 정치인 사찰이나 정치 보복 시비와 선을 긋겠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윤 당선인은 이날 서울 종로구 통의동 집무실에서 열린 안철수 대통령직인수위원장, 권영세 부위원장, 원희룡 기획본부장과의 차담회에서 이같이 말했다고 김은혜 당선인 대변인이 전했다. 윤 당선인은 “과거 사정 기관을 장악한 민정수석실은 합법을 가장해 정적(政敵)이나 정치적 반대 세력을 통제하는 경우가 비일비재했고, 검증을 위장해 국민 신상 털기와 뒷조사를 벌여왔다”며 “이런 잔재를 청산하겠다. 일명 ‘사직동팀’은 있을 수 없다”고 했다. 그러면서 “제가 지향하는 대통령실은 정책 어젠다를 발굴하고 조정 관리하는 데 힘쓰는 것”이라고 했다.
사직동팀은 과거 청와대 특명에 따라 고위 공직자와 대통령 친·인척 관리 및 첩보 수집 기능을 담당했던 조직이다. 공식적으론 지난 2000년 김대중 전 대통령의 지시로 해체됐지만, 이후 민정수석실 등에서 비슷한 기능을 해온다는 논란이 있었다. 윤 당선인은 대선 캠페인 때도 민정수석실 폐지를 공약했다. 윤 당선인의 이날 발언에 대해 김 대변인은 “오로지 국가 안보, 민생에 집중해야 한다는 당선인 의중이 반영된 발언”이라며 “제왕적 대통령의 폐해를 청산하겠다는 것이 당선인의 구상”이라고 했다.
윤 당선인은 이날 인수위원회 산하에 국민통합특별위원회와 지역균형특별위원회를 설치하고 위원장에 각각 김한길 전 새정치민주연합 대표와 김병준 전 자유한국당 비상대책위원장을 임명했다. 이번 대선 때 김 전 대표는 윤 당선인 직속 새시대준비위원장을, 김 전 위원장은 상임 선거대책위원장을 지냈다.
윤 당선인은 이날 오후엔 서울 남대문 시장을 방문해 대선 때 공약한 코로나 피해 구제 공약을 적극 추진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윤 당선인은 이 자리에서 “(전통시장은) 민생 경제의 바탕이 되는 곳”이라며 “여러분이 어려우면 나라 전체가 어렵다. 중산층으로서 튼튼하게 국가 경제·사회를 받쳐줘야 나라도 걱정이 없는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