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진애 전 열린민주당 의원은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청와대 집무실 이전’에 대해 “민폐”라고 비판했다.
김 전 의원은 15일 TBS라디오 ‘신장식의 신장개업’에서 “일단 ‘광화문 대통령’을 표명한 건 사실 문재인 대통령이었다. 그때 1년 반 정도를 위원회를 만들어서 검토했는데 이미 폐기해야 한다고 결론이 났던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그 후 3년 동안에 그 공간이 달라졌나. 아무것도 없는 것 아닌가. 사실 광화문 광장도 지금 상당히 시민한테 돌려주는 시민친화적인 공간으로 다시 태어나고 있는 중”이라며 “관저를 다른 데다 알아보겠다, 이런 얘기를 하는 건 정말 이상하다. 왜 청와대에 못 들어갈 이유라도 있나”라고 했다.
이어 “제일 이상한 건 뭐냐면 이게 급히 해야 될 일이 아니다. 인수위에서 지금 해 가지고 두 달 안에 결정해야 되는 게 아니다”라며 “청와대는 대한민국의 상징이고, 또 이제는 세계에서도 하나의 상징이 되고 있다. 외교의 공간으로서 그리고 서울의 상징이기도 하다”고 했다.
그러면서 “그동안 청와대를 개방해왔기 때문에 이제는 시민들도, 국민들도 상당히 많이 친하게 느껴지는 공간이 이미 바뀌고 있다. 그러니까 그런 것들을 봤을 때 이건 굉장히 신중해야 되는 일이다”라며 “인수위에 두 달 안에 이렇게 급하게 해야 될 일은 절대로 아니라고 판단하기 때문에 이건 민폐가 될 것이다. 그리고 절차에 맞지 않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윤 당선인이 집무실을 용산 국방부 청사로 이전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과 관련해서는 “말이 안 된다. 몰상식하다”고 했다. 김 전 의원은 “정말 비상식적이다. 갑자기 광화문 시대에서 용산 시대로 바뀌는 것 아닌가”라며 “이건 개인의 아파트로 옮길 수 있는 게 아니지 않나”라고 했다.
이어 “대통령이 무슨 왕인가”라며 “어떤 공간을 어떻게 쓰느냐에 대한 의사결정 하는 과정이 민주적이지 않다”고 했다. 그러면서 “지금 얼마나 위기 사안이 많은가. 집무실 두 달 동안 바꿀 수 있나. 그렇게 하지 말고 일단 청와대로 들어가서 효율적으로 공간을 바꾸는 게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한편 윤 당선인은 대통령 집무실을 광화문 정부 청사로 이전해 ‘광화문 대통령’이 되겠다고 공약을 내걸었었다. 그러나 경호, 교통 등 문제가 지적되자, 용산 국방부 청사로 이전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김은혜 당선인 대변인은 16일 브리핑에서 “기존 청와대로 윤 당선인이 들어갈 가능성은 제로”라며 “용산을 포함해 여러 개 후보지를 놓고 검토 작업 중”이라고 밝혔다. 이어 “대통령 집무실을 결정할 때는 신호등 개수도 파악해야 할 정도로 국민께 불편을 드리지 않으면서도 국정운영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치밀하게 점검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오늘내일 말씀드릴 수 있을 것처럼 간단히 결정지을 일은 아니다”라면서도 “5월 10일 저희가 취임해 새 대통령 집무실에서 국민들에게 인사드릴 수 있다는 점만 분명히 말씀드릴 수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