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가 29일 문재인 대통령 부인 김정숙 여사의 옷값 논란에 대해 “임기 중 대통령 배우자로서 의류 구입 목적으로 특수활동비 등 국가 예산을 편성해 사용한 적이 없고, 사비로 부담했다”고 했다. 최근 청와대가 ‘김 여사 의전 비용과 특활비를 공개하라’는 법원 판결에 불복해 항소한 것이 김 여사 옷값을 숨기기 위한 것이라는 세간의 의혹을 반박한 것이다. 하지만 청와대는 김 여사가 그동안 착용한 것으로 알려진 170여 벌의 의상, 액세서리와 관련한 구체적인 내용을 공개하지 않았고, 특활비 공개도 거부함에 따라 논란은 계속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 신혜현 부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이같이 말하며 “순방 의전과 국제 행사용으로 지원받은 의상은 기증하거나 반납했다”고 했다. 기존에 가지고 있던 옷을 리폼(수선)하기도 했다고 했다. 2018년 프랑스 방문 때 화제가 됐던 명품 브랜드 샤넬 의상 역시 협찬받은 뒤 현재 국립한글박물관에 기증해 전시 중이라고 한다. 청와대 관계자는 김 여사가 착용한 브로치가 2억원짜리 명품 브랜드 제품이라는 주장에 대해서도 “가짜 뉴스”라고 했다. 명품을 모방한 모조품도 아니라는 입장이다.
신 부대변인은 “국가 간 정상회담, 국빈 해외 방문, 외빈 초청 행사 등 공식 활동 수행 시 국가원수 및 영부인으로서의 외교 활동을 위한 의전 비용은 행사 부대 비용으로 엄격한 내부 절차에 따라 최소한의 수준에서 예산을 일부 지원하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대통령비서실의 특수활동비가 국방, 외교, 안보 등의 사유로 구체적으로 공개하기 어렵다는 점을 빌미로 무분별하게 사실과 다르게 주장하는 것에 대해 유감스럽게 생각한다”고 했다. 하지만 청와대는 그러면서도 “법적 조치는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했다.
청와대는 김 여사가 옷을 사는 데 사비를 얼마나 썼는지에 대해선 “저희가 공개할 이유는 없다”고 했다. 인터넷에서는 “특활비가 아니고 사비라면 오히려 공개하지 못할 게 없지 않냐”는 지적이 나왔다. 또 청와대가 김 여사 옷값에 대한 여러 추측이 제기된 지 1주일이 지나서 뒤늦게 해명한 것에 대해서도 석연치 않다는 비판이 나온다. 국민의힘은 “문재인 대통령 재임 중 청와대 특수활동비 내역을 공개하는 것이 국민에 대한 도리”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