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오수 검찰총장이 11일 오전 서울 서초구 대검찰청에서 전국 검사장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뉴스1

문재인 정권이 임명한 김오수 검찰총장이 더불어민주당이 추진하는 ‘검수완박(검찰 수사권 완전 박탈)’에 대해 “직(職) 에 연연하지 않겠다”며 반대 입장을 분명히 밝혔다.

더불어민주당은 11일 브리핑을 통해 “매우 부적절하다”고 김 총장을 비판하고 나섰다.

고용진 민주당 수석대변인은 “김오수 검찰총장이 오늘 전국지검장회의 모두발언에서 자신의 직을 걸고 검찰 수사권 폐지입법을 막아내겠다는 입장을 밝혔다”라며 “국가공무원들이 이렇게 집단행동을 하는 것도 매우 부적절한데 조직의 수장이라는 사람이 오히려 이들을 부채질하고 있으니 개탄스럽다”라고 했다.

고 대변인은 “국회의 입법을 그 대상인 국가기관이 거부하겠다는 것이 가당키나 한 일인가? 그런 식이면 국회의 입법이나 정부의 정책 변화는 해당 부처 공무원들의 동의를 구해야 하는지 묻고 싶다”라며 “국가공무원은 법이 정한 범위 안에서 자신의 직분에 충실해야 한다. 자신의 직무 범위와 권한을 자기 마음대로 결정하려는 검찰의 행태야말로 스스로 무소불위의 권력을 가졌다고 여기는 방증”이라고 했다.

이어 “검찰이 그동안 본인들의 직분에 충실했다면 국회가 검찰개혁에 나서지도 않았을 것”이라며 “그러나 검찰은 수사권 남용과 선택적 법집행에 대한 지적에 조금도 반성하지 않았다. 그런 검찰이 이제 와서 자신들의 권한이 축소된다고 벌떼같이 들고 일어나는 모습은 부끄러워해야 할 일”이라고 했다.

고 대변인은 “검찰이 가진 권한은 천부적으로 부여된 것이 아니다. 검찰의 권한은 법이 부여한 권한이며, 국민의 대의기관인 국회가 입법을 통해 결정한 것”이라며 “이를 망각한 채 자신들의 권한을 지키고 정치적 영향력을 유지하려고 한 결과로 수사권 분리 입법이 요구되는 것이다. 검찰이 지난 과오를 자각한다면 자숙하면서 국회의 논의를 반성과 변화의 계기로 삼아야 할 것”이라고 했다.

반면 허은아 국민의힘 수석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문재인 정권이 ‘식물검찰’을 만들기 위해 임명했던 김오수 검찰총장마저 민주당의 ‘검수완박’에 대해 조목조목 비판의 목소리를 냈다”라며 “정권이 수족처럼 부리려던 김 총장마저 반대에 앞장서고 있으니, 이제 ‘민주당만 빼고’ 모두가 명분도 실리도 없는 검수완박에 반대하고 나선 형국”이라고 했다.

허 대변인은 “지난 5년간 검찰 권력을 손에 쥐고 칼날을 휘두르며 대한민국을 송두리째 혼란의 소용돌이에 몰아넣고서도 아직 부족했는지, 정권의 임기가 불과 한 달도 남지 않은 시점에서 서둘러 검수완박을 해치우겠다는 모습을 보며 국민들은 분노와 실망을 금할 수가 없다”라며 “정권의 마지막까지도 입법폭주로 국민에게 고통만 안겨주겠다는 참 나쁜 정권이다”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