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소속 양향자 의원 명의의 ‘검수완박 반대 입장문’이 19일 정치권과 법조계에 퍼져 논란이 일었다. 민주당 출신인 양 의원은 검수완박 관련 법안을 심사하는 국회 법제사법위 소속으로, 민주당이 법안 처리를 강행하면 그 과정에서 결정적 ‘키(Key)’를 쥘 수도 있는 인물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양 의원 측은 “온라인에서 만들어진 지라시”라며 전혀 관련이 없다고 했다. 양 의원은 이날 밤 늦게까지 전화와 문자메시지 모두 연락을 받지 않았다.
이날 카카오톡 등 온라인 메신저를 통해 확산된 양 의원 명의 19일 날짜 입장문에는 “나는 문재인 대통령 영입 인사로, 누구보다 문 대통령 성공을 바라는 사람”이라며 “그래서 이번 (검수완박) 법안이 이런 식으로 추진되는 것에 동의할 수 없다”고 쓰여 있다. 이어 “나는 글로벌 IT 기업 엔지니어였다. 하나의 제품을 내놓기까지 끊임없이 검증한다”며 “표결과 의사 결정에 앞서 좀 더 시간을 갖고 논의하자”고 했다. 양 의원은 고졸 출신 여성으로 삼성전자에서 최초로 임원(상무)을 지냈다. 또 “이번 판단이 정치 기반을 한순간에 무너뜨릴 수 있음을 잘 알지만 양심에 따르겠다”는 내용도 있다.
민주당 소속으로 지난 총선 때 광주 서구을에서 당선된 양 의원은 작년 7월 보좌진의 성추문이 문제가 돼 탈당했다. 양 의원은 지난 7일 법사위로 소속 상임위가 변경됐다. 국회 안팎에선 민주당이 최장 90일까지 진행되는 안건조정위를 강제 종료시키기 위해 양 의원을 법사위로 불러들였다는 말이 나왔다. 법사위의 유일한 무소속인 양 의원은 안건조정위에 포함되는데, 이렇게 되면 안건조정위원 6명 중 강제 종료에 필요한 4명(민주당3+양 의원)이 충족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양 의원이 검수완박에 반대하면 안건조정위가 최장 90일까지 계속 진행돼 현 정권 내 법안 처리가 불가능하다.
양 의원은 법사위 보임 당시 본지 통화에서 “(민주당이 불러들였다는 건) 날 모욕하는 발언”이라며 “소신대로 행동할 것”이라고 했다. 이날 퍼진 입장문에는 양 의원이 평소 강조하는 ‘문 대통령 영입 인사’ ‘엔지니어 출신’ 등이 포함돼 “양 의원이 실제 작성한 것 아니냐”는 말이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