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은 검수완박 합의에 대해 24일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가 ‘최고위 회의에서 재검토’를 언급하자, “설마 합의를 뒤집겠느냐”면서도 “합의 파기에 대비한 비상한 대책이 필요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민주당 조오섭 대변인은 이날 본지 통화에서 “이 대표가 페이스북에서 ‘재검토’를 언급했지만 국민의힘 공식 입장이라고 보지는 않는다”며 “불과 이틀 전 원내대표들이 합의하고 양당 의원총회까지 거친 사안을 공당(公黨) 대표가 손바닥 뒤집듯 바꾸는 것은 상상하기 어렵다”고 했다. 이수진 원내대변인도 “국민의힘 ‘집안 문제’”라고 했다.
그러나 “국민의힘이 ‘가짜 합의’로 시간만 끈 것 아니냐”는 말도 나왔다. 민주당 안에서 검수완박을 가장 강하게 밀어붙인 ‘처럼회’에 속한 이수진 의원은 페이스북에서 “국민의힘이 중재안 수용을 번복하고 필리버스터를 시작하면 법안도 처리하지 못한 채 문재인 정부 임기는 끝나게 될 수 있다”며 “검은 속내가 보이는 국민의힘 약속을 믿을 수 없다”고 했다.
민주당은 이 대표 입장이 나오기 전까지는 검수완박 합의로 ‘꼼수 논란’에서 벗어난 데 대해 “검수완박을 향해 일보 전진한 것”이라며 “한숨 돌렸다”는 분위기였다. 민주당 한 의원은 “중재안 내용에 만족 못 하는 사람도 있겠지만 성과를 낸 것도 분명하다”며 “2005년 국가보안법 폐지를 추진할 때 당이 ‘완전 폐지’와 ‘일부 폐지’로 갈라져 결국 아무 성과도 못 냈던 걸 기억해야 한다”고 말했다. 다른 의원도 “소속 의원 탈당까지 시키면서 강행하는 걸 국민이 이해해줄 리가 없다”며 “당 지도부가 이 정도 선에서 끝낸 건 참 잘한 일”이라고 했다.
반면 민주당 권리당원 게시판과 친여 성향 커뮤니티에는 윤호중 비상대책위원장과 박홍근 원내대표의 사퇴를 요구하고, 중재안을 제시한 박병석 국회의장을 탓하는 글이 여럿 올라왔다. 한 의원은 “중재안에 합의한 뒤로 왜 이렇게 끝냈냐고, 다시 하라는 ‘문자 폭탄’이 엄청나다”고 말했다.
처럼회 소속 황운하 의원은 23일 페이스북에서 “의장 중재안의 핵심은 검찰 직접 수사권을 한시적으로 남기지만 점진적으로 완전 폐지한다는 것”이라며 “핵심 내용이 지켜지지 않는다면 합의는 대국민 사기극에 다름 아니다”라고 했다. 그러면서 “국민의힘 쪽은 이 부분을 지킬 생각이 처음부터 없었던 것으로 의심된다”며 “법안을 만드는 과정에서 이 부분이 명시되지 않는다면 합의는 파기된 것으로 간주해야 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