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오전 서울 시청역에서 마스크 쓴 시민들이 출근길 발걸음을 옮기고 있다.이날 정부는 다음 달 2일부터 실외 마스크 착용 의무를 해제한다고 밝혔다./뉴스1

다음주 월요일(5월2일)부터 실외 마스크 의무 착용이 해제된다. 다만 밀집에 따른 감염 위험 가능성이 여전한 만큼 50인 이상이 모이는 행사나 시설 이용 땐 마스크 착용을 해야 한다. 지난 2020년 10월 13일 실내·외 마스크 착용 의무(과태료 10만원 부과)가 생긴 이후 566일 만에 실외에서 마스크를 벗을 수 있게 된 것이다.

김부겸 국무총리는 29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코로나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회의에서 이같이 밝혔다. 김 총리는 “정부는 정점 이후 6주째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는 방역 상황과 더 나은 삶에 대한 국민들의 간절한 바람을 고려해 일상회복의 큰 걸음을 지속하기로 했다”며 “다음주 월요일, 5월2일부터 실외에서의 마스크 착용 의무는 원칙적으로 해제한다”고 말했다.

그는 “다만 밀집과 이용행태에 따른 감염 위험을 고려해 50인 이상이 참석하는 집회, 행사, 공연, 스포츠 경기 관람장 등 실외 다중이용시설에서는 현재와 같이 마스크 착용 의무를 유지한다”고 했다. 이에따라 야구 경기 등 대규모 관중이 몰리는 행사에선 마스크를 계속 착용해야할 것으로 보인다.

27일 오후 서울 중구 명동거리에서 한 남성이 마스크를 벗어 들고 걷고 있다./연합뉴스

그러나 지난 2020년 10월 하루 확진자가 90명대에서 쓰기 시작한 마스크를 6만명 대에서 벗게 되는 셈이어서 실외 마스크 의무착용 해제에 대한 논란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대통령직 인수위원회는 좀 더 추이를 보고 다음달 하순쯤 마스크 해제 여부를 결정하자는 입장을 밝혔지만 현 정부는 인수위 측에서 과학적 근거나 기준을 제시하지 못했다고 보고 받아들이지 않았다.

김 총리는 이같은 비판과 관련 “실외마스크 착용의무 해제는 전문가 분석, 세계적 흐름을 감안해 정부 내 치열한 논의를 거쳤다”며 “실외마스크 착용 의무는 해제하지만 야외에서라도 감염예방을 위해 필요한 경우 자율적으로 마스크를 착용해주기를 요청드린다”고 했다.

김 총리는 60세 이상 4차 접종에 관해 “4차 접종 예약률이 최근 27%로 높아졌으며, 특히 80세 이상은 42%를 넘어섰다”며 “각 지자체는 대상자들께서 편리하게 접종을 받으실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해달라”고 했다. 그러면서 “정부는 혈액암이나 장기 이식으로 면역억제 치료를 받고 있어 예방접종을 통한 항체 형성이 어려운 분들을 위한 항체 치료제 ‘이부실드’를 6월 중 도입할 것”이라고 했다.

대통령직인수위원회는 정부의 결정에 “시기상조”라며 “정부의 결정에 대해 유감을 표한다”고 했다.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홍경희 부대변인은 이날 통의동 인수위에서 브리핑을 열고 “이번 결정이 과학방역에 의한 결정인지 의문을 가질 수 없다. 우려를 표하며 향후 재확산시 어떤 대응을 생각했는지 묻지 않을 수 없다”고 했다. “이번 결정에 대해 정부와 사전교감은 없었다”고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