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한동훈 법무부 장관 후보자 인사 청문회에서 여야 청문위원들은 최강욱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청문위원으로 참여하는 게 적절한 지를 두고 날선 공방을 벌였다. 국민의힘은 최 의원이 이동재 전 채널A 기자 명예를 훼손한 혐의로 기소된 만큼 관련된 검언유착 의혹을 받던 한 후보자를 청문하는 것은 부적절하다는 주장을 펼쳤다. 이를 반박하는 과정에서 최 의원은 “한 후보자와 직접 이해관계가 없다”며 한 후보자를 바라봤는데, 이때 최 의원을 바라보는 한 후보자 눈빛이 온라인상에서 화제를 모았다. 네티즌들은 “두 사람 기싸움 장난 아니네”, “한동훈 눈빛 싸늘하다” 등의 반응을 보였다.
이날 조수진 국민의힘 의원은 의사진행 발언에서 최 의원을 겨냥해 “청문회를 앞두고 ‘인사청문회법 제17조’를 찾아봤다. ‘위원은 공직후보자 직접 이해관계가 있거나 공정을 기할 수 없는 현저한 사유가 있을 경우에는 그 공직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에 참여할 수 없다’고 명시돼 있다. 오늘 이 자리에는 인사청문위원으로 참석하는 게 대단히 부적절한 분이 있다”고 말했다.
조 의원은 “이 의원은 통칭 채널A 사건, 진실로는 권언유착 사건이다. 이 사건을 사실상 만들고 관련 가짜뉴스를 무차별적으로, 무분별하게 유포했다. 명예훼손 혐의로 기소되어 현재 재판 중에 있다. 특히 채널A 이동재 전 기자는 추가 허위 사실이 확인됐다면서 추가로 이 해당 의원을 고소했다. 그리고 현재 경찰이 수사하고 있다”고 했다.
최 의원은 자신의 페이스북에 이동재 전 채널A 기자에 대해 허위사실 글을 유포한 혐의(명예훼손) 등으로 기소돼 재판을 받고 있다. 게시글엔 이 전 기자가 이철 전 밸류인베스트코리아(VIK) 대표 측에 ‘사실이 아니라도 좋다. 당신이 살려면 유시민(노무현재단 이사장)에게 돈을 줬다고 해라, 그러면 그것으로 끝이다’ ‘검찰에 고소할 사람은 우리가 준비해뒀다’ ‘유시민의 집과 가족을 털고 노무현재단도 압수수색한다’ 등 발언을 했다는 내용이 담겼다. 또 최 의원은 한 후보자가 이 전 기자와 공모했다는 의혹을 제기했지만, 한 후보자는 지난달 무혐의 처분을 받았다.
조 의원은 “권언유착 사건에서 한 후보자는 무혐의로 결론이 났다. 해당 의원은 작년 박범계 장관 후보 청문회 때도 수억원을 써서라도 한동훈 후보자의 아이폰 비밀번호를 풀어달라는 취지로 질의를 했다. 이 의원은 중대 사건의 피고인이 된 후 법사위로 상임위를 옮겨왔다. 본인이 억울한 게 있다면 법정이나 수사기관에서 피력하면 될 것이지 법사위 회의장을 이용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이어 최 의원이 한 후보자에게 ‘사적 원한’을 갖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며 “해당 의원이 인사청문위원으로서 자격이 괜찮은지에 대해서 여야 간사는 의논해 주시고 적절한 조치를 서둘러서 행해 주시기 바란다”고 요청했다.
이에 대해 최 의원도 의사진행 발언 시간을 통해 입장을 밝혔다. 그는 팔짱을 낀 채 “저는 공직자와 직접 이해 관계가 있지 않다”고 했다. 이어 “한 후보자와 저의 악연에 대해서야 아시는 분들은 많이 아시겠지만, 이게 다 당선자 문제 때문에 생긴 일이고 한 후보자와 저와 직접 원·피고 간으로 만난다거나 검사와 피고인으로 만난 적이”라 말하고 한 후보자를 한 번 쳐다본 뒤 “없다”고 했다. 곧바로 카메라가 한 후보자쪽을 찍었고, 한 후보자는 양손에 깍지를 낀 채 최 의원을 무표정으로 바라봤다. 이어 카메라와 눈이 마주친 한 후보자는 시선을 이리저리 옮겼다.
한 후보자가 최 의원을 바라보는 눈빛은 캡처돼 온라인상에 퍼졌다. 이를 두고 네티즌들은 “한동훈 눈빛 한 번 싸늘하네”, “두 사람의 기싸움을 구경한 기분”, “한동훈도 지지 않고 쳐다보네” 등 다양한 반응을 보였다.
최 의원은 “직접 이해관계가 있는 사람은 채널A 출신”이라며 “채널A의 행각을 비호하는 내용들이 직접 이해관계가 있을 수 있다”고 했다. 이어 “고발사주 사건이 처음 일어났을 때, 제가 피해자임에도 불구하고 가해자분들의 요청을 받아들여서 스스로 회피를 해 드린 적이 있다. 그 이후에 과연 얼마나 공정하게 의사진행을 하시고 발언을 하셨는지 한번 돌아보시기를 바란다”고 했다.
또 “검언유착과 권언유착 사건을 구분해서 이해하고 발언하라. 매번 틀린다. 검언유착 사건이 대한민국 검찰이 이동재 채널A 전 기자를 기소한 이유로 포함돼 있는 내용이고, 권언유착 사건은 지금 당선자를 포함한 우리 후보자를 포함한 검찰의 일부 집단에서 그 프레임을 바꾸고자 권력과 언론을 유착한 것처럼 만들어보려고 수사도 열심히 하고 시도를 했다가 기소도 못하고 끝난 사건”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그걸 여기 와서 계속 들고 나오면서 마치 엄청난 이해관계나 불공정한 사유가 있는 것처럼, 제가 법사위에 임하면서 제 사건과 관련된 엄청난 얘기를 한 것처럼, 찾다 찾다 못 찾으니까 이제 아이폰 풀려고 했다고. 거기다가 수억원이 들더라도 풀려고 했다, 이런 말을 덧붙이면서 국민을 호도하시려고 하는 태도는 바람직하지 않다”고 했다.
국회 법사위 여야 의원들은 최 의원을 제척해야 하는지를 두고 설전을 이어갔으나, 결국 제척하지 않기로 했다. 민주당 소속 박광온 법사위원장은 “인사청문회 제척 의결은 위원회 다수가 동의해야 할 수 있다”며 “의원 다수가 의결에 반대하고 있어 의결 절차를 밟는 것은 불필요하다고 판단한다”고 했다. 현재 국회 법사위원 18명 중 민주당 소속은 박광온 법사위원장을 포함해 10명이다. 국민의힘은 6명이다. 무소속은 민주당 위장탈당 논란을 빚은 민형배 의원과 민주당 출신인 양향자 의원 2명이다.